고양특례시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일반시민과 미래세대 대상 환경교육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우선 시민들이 기후위기를 공감하고 생활 속에서 친환경 정책을 실천할 수 있도록 시민 환경지도자 양성에 나서고 있다.
고양시 환경교육센터는 환경부로부터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기관으로 지정받아 기본양성과정에서 작년 말까지 시민 330명을 환경분야 전문인력으로 양성했다.
또 유아부터 성인까지 체계적인 친환경 교육으로 가치관을 정립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위해 고양시 생애주기별 환경교육은 씨앗이 새싹을 틔워 나무가 되는 과정처럼 씨앗(유아)-새싹(초등학생)-트리(청소년)-기후환경학교(성인)로 연령별 환경교육 체계를 구축했다.
특히, 성인 기후환경학교는 해를 거듭하며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 7~8월 8주 동안 진행한 고양시 기후환경학교, 학자에게 듣다, 기후위기 현재와 미래과정에는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누적인원 1475명이 참여했다.
이외에도 체계적인 교육을 위해 고양시 환경교육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환경교육 기반 강화 ▲공교육과 함께하는 환경교육, 사회환경교육 확대, 환경교육 협력 확대 등 4개 영역의 세부계획을 마련했다.
또 지적장애 학생 특수교육 기관인 홀트학교 교사 제안으로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환경교육도 추진한다.
체험형 환경교육 프로그램 함께 사는 세상, 함께 지켜야 할 지구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을 키우고, 신체적 불편을 극복할 수 있도록 소근육을 발달시키는 신체적 활동을 포함한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인류의 생존이 걸린 기후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민과 함께 실천할 수 있는 환경정책을 추진한다”며 “시민들이 직접 기후위기 대응의 필요성과 실천을 공유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앞장서는 선한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경기신문 = 김은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