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추진 중인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사업에 신한은행,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하나은행 등 4개 시중은행이 추가로 합류한다. 이로써 모바일 신분증은 내년부터 정부 앱 외에도 총 10개 민간 앱에서 발급 및 사용이 가능해진다.
행정안전부는 13일 “2025년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참여기업으로 4개 은행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올해 상반기부터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 있으며, 삼성전자가 지난해 3월 1차 참여기업으로 첫 서비스를 시작했고, 이어 국민은행, 네이버, 농협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카카오뱅크 등 5개 기업이 2차 참여기업으로 오는 7월 말부터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3차 선정으로 모바일 신분증 활용 기반은 더욱 넓어지게 됐다. 특히 은행 등 국민 접근성이 높은 앱에서도 신분증 발급과 인증이 가능해져 디지털 신원확인 수단의 실질적 보급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025년 민간개방 참여기업 공모는 지난 6월 9일부터 7월 4일까지 진행됐으며, 보안 및 인증 분야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참여기업을 평가했다. 보안 수준, 개인정보 보호 대책, 서비스 신뢰도, 장애 대응체계, 활성화 계획 등이 주요 평가 항목이었다.
선정된 기업들은 이달부터 시스템 개발에 들어가 내년 1분기까지 기술 구축을 완료하고, 2분기 중 적합성 평가를 통과한 뒤 그 해 7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모바일 신분증은 이용자의 스마트폰 내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별도로 보관되지 않아 해킹 등 외부 침해 위험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것이 정부 측 설명이다. 분실 시에는 생체인증 및 앱 비밀번호 등으로 접근이 차단되며, 원격 잠금도 가능하다.
적합성 평가는 금융보안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전문기관이 맡는다. 필수 기능 구현 여부, 위·변조 방지 기능, 안면인식 정합성 등 보안성과 안정성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정부가 마련한 모바일 신분증 플랫폼 위에 민간 기업들의 창의적 서비스가 더해지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대표적인 민관협업 모델이 자리잡고 있다”며 “국가가 공인하는 신분증인 만큼, 모바일 신분증 또한 최고 수준의 보안을 유지해 국민이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고현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