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운동 20년 역사 ‘한권에’

2008.05.25 21:00:16 13면

송정로 기자 ‘인천 시민사회운동 20년사’ 발간
1987년 민주화·노동·민중운동 조직 상세 서술

1987년 6월 항쟁에서부터 지난해 12월까지 20년에 이르는 인천지역 시민운동의 전개 과정이 한 권의 책으로 나왔다.

인천신문 송정로 선임기자가 지난해 6월 항쟁 20주년을 맞아 ‘6월 항쟁과 인천 시민사회운동 20년’이라 제목으로 2007년 한 해 연재한 내용을 가필, 보완해 ‘인천 시민사회운동 20년사’로 펴냈다.

지난 20년간 인천일보, 인천신문에 재직하면서, NGO 담당취재기자와 데스크로 일해온 저자는 그간 축척한 경험과 문건들, 관련자 인터뷰, (사)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객관적 사실을 위주로 인천지역 시민운동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압축, 요약했다.

이 책은 1990년대 시민운동의 토대가 된 1987년 전후의 민주화·노동·민중운동 조직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서술했다.

1980년대 한국 노동운동의 중심지를 이뤘던 인천지역 사회운동의 특징은 향후 인천지역 시민운동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1987년 6월 항쟁 이후 12월 대선 사이 인천지역 민중·민주운동 진영은 운동 방향을 놓고 분화, 분열을 거듭했으며, 1992년 총선을 앞두고 계속된 노선의 대립속에 한국노동당이라는 정치세력화 진영의 중심 역할을 하기도 했다. 저자는 이 과정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1987년 이후 인천 시민사회운동 20년의 단계를 1995년 제1회 동시지방선거와 2000년 낙천낙선운동에서 끊어 3부로 나누었다.

1부에선 민중, 민주화운동의 연장 선상에서 권력에 맞섰던 연합운동(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인천본부~인민련~인천연합)의 전개 과정과 사회운동의 주류로서 시민운동의 등장, 목요회(89.6)에서 인천환경운동연합(94.12)까지 시민단체의 창립, 계양산살리기·선인학원정상화·핵폐기장 철회 운동 등 90년대 초반 지역 시민운동을 다졌던 지역연대 활동을 다뤘다.

2부는 본 궤도에 오른 지방자치제도와 시민운동, 지자체 및 지방의회 감시·참여 활동과 영흥도 화력발전소 건설 반대·부평미군부대 반환 운동 등 지역현안과 시민단체 연대 활동, 영역별 시민운동 과정, 범시민 북한동포돕기운동, ‘노동개악법’ 철회운동, 실업극복운동 등을 기술했다.

3부는 시민운동의 정점에 올랐던 낙천낙선운동의 전개와 성과 및 표면화된 인천지역 시민운동의 분열로 시작해 급증한 지역현안과 연대, 평화통일 운동, 이주노동자 인권운동을 다뤘다.
임시창 기자 isc@kgnews.co.kr
저작권자 © 경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흥덕4로 15번길 3-11 (영덕동 1111-2) 경기신문사 | 대표전화 : 031) 268-8114 | 팩스 : 031) 268-839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엄순엽 법인명 : ㈜경기신문사 | 제호 : 경기신문 | 등록번호 : 경기 가 00006 | 등록일 : 2002-04-06 | 발행일 : 2002-04-06 | 발행인·편집인 : 김대훈 | ISSN 2635-9790 경기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0 경기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g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