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더 좋은 임신 출산 환경 조성을 위해 임신 준비부터 출산 산후조리까지 사회적 지원을 강화한다.
□ 임신을 준비하고 있는 20~49세의 모든 남녀를 대상으로 필수 가임력 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여성은 13만 원, 남성은 5만 원으로 최대 3회 지원한다.
또 가임기 여성과 임산부에게 꼭 필요한 영양제인 철분제·엽산제 지원을 비롯해 청소년·고위험 임산부를 대상으로 의료비 지원과 심리상담도 함께 제공한다.
□ 임산부의 경우 난임 임산부 심리상담센터 운영을 통해 난임 부부와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 완화 등 건강증진을 위한 전문적 상담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분만취약지(연천·가평·양평·안성·포천·여주)에 거주하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최대 100만 원의 교통비를 카드포인트 형태로 4월부터 지원할 예정이다.
또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 받은 임산부는 적정 치료 관리를 위해 진료 급여의 경우 본인 부담금 전액, 비급여 진료비의 경우 90%를 1인당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한다.
19세 이하 청소년 산모는 임신·출산 의료비, 약제 치료 재료 구입비를 임신 1회당 120만 원까지 지원한다.
□ 출산 후에는 도내 출산가정을 대상으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비용을 지원한다.
지난해부터 소득 기준에 관계없이 도내 모든 출산 가정을 대상으로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신생아 양육 교육, 가사활동 지원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도내 출산가정에 출생아 1인당 산후조리비 5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한다.
또 현재 임산부이거나 출산을 한 산모의 경우 1인당 40만원(자부담 8만원 포함)을 산모와 임신부를 대상으로 유기농수산물·무농약농산물 등 친환경농산물을 제공한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만혼, 고령출산 경향으로 생식능력 저하와 난임, 고위험 임신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환경에서 필요한 지원을 적기에 받을 수 있도록 임신 준비부터 출산 이후까지 지원을 강화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우경오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