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관광공사는 지난달 방한한 외래 관광객이 88만9천여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95% 늘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 4월(163만5천여명)의 54% 수준을 회복한 수치다. 국가별로 보면 일본에서 작년 동월보다 5천651% 늘어난 12만8천여명이 찾아 가장 많았다. 4월 28일부터 이달 7일까지 이어진 골든위크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관광공사는 설명했다. 미국에선 작년보다 252% 늘어난 10만9천여명이 찾아 2위를 차지했다. 중국의 경우 한-중 항공편이 증편되고 노동절이 겹치며 작년보다 936% 증가한 10만6천여명이 찾아 3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 대만(7만7천여명), 태국(5만4천여명), 베트남(4만1천여명) 순이었다. 홍콩과 대만은 각각 작년 대비 2만7천141%, 1만5천185% 증가하며 방한 관광객 증가율 1위와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홍콩은 부활절 성수기가, 대만은 청명절 연휴가 겹친 영향이 컸다. 지난달 해외로 출국한 우리 여행객은 작년 동월 대비 596% 증가한 149만7천여명이었다.
임금 인상률을 두고 사측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아시아나항공 조종사노동조합이 본격 쟁의행위에 나선다. 전날 조종사조노에 따르면 지난 23~28일 조합원 1천95명이 참여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2.39%(874표)가 찬성했다. 노조는 비행 전 약식으로 진행해온 캐빈 합동 브리핑을 철저히 진행하는 등 합법적인 규정 내에서 비행기를 지연시키는 '준법투쟁'으로 시작해 서서히 쟁의 강도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태풍 '마와르' 영향으로 괌에 고립됐던 한국 관광객들이 괌 국제공항 운영 재개로 29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태풍 '마와르' 영향으로 괌에 고립됐던 한국 관광객들이 괌 국제공항 운영 재개로 29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입국장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미국령 괌을 강타한 제2호 태풍 '마와르'가 대만 동쪽 해상에서 방향을 틀어 31일부터 일본 오키나와가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교도통신과 현지 공영방송 NHK가 30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마와르는 31일 오키나와현 사키시마(先島) 제도에 접근한 뒤 북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내달 3일까지 오키나와 지역에 피해를 줄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마와르의 중심기압은 950hPa(헥토파스칼)이다.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은 초속 45m, 최대 순간 풍속은 초속 60m다. NHK는 "태풍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느린 편이어서 영향이 길어질 수 있다"며 "폭풍과 집중호우, 높은 파도에 주의해야 한다"고 전했다. 태풍의 영향으로 오키나와뿐만 아니라 일본 서부에도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일본 기상청은 지난 29일 오사카가 있는 긴키 지방과 후쿠오카가 있는 규슈 북부, 시코쿠 등지에서 장마가 시작됐다고 발표했다. 긴키 지방의 장마 시작 시점은 평년보다 8일 이르고, 작년보다는 16일 빠르다. 이 지역에서 5월에 장마가 시작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다른 지역도 예년보다 6∼8일 빨리 장마에 접어들었다.
북한 당국이 오는 31일 0시부터 내달 1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보를 일본 정부에 전달한 가운데 29일 오후 경기도 파주시 접경지역에서 바라본 서부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 남측 대성동 마을 태극기와 북측 기정동 마을 인공기가 펄럭이고 있다.
괌을 강타한 태풍 '마와르'로 인해 현지에 발이 묶인 한국 관광객들의 복귀편이 마련된 29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에 설치된 전광판에 비행 일정이 표시돼 있다. 외교부는 이날 한국에서 괌으로 국적기 11대가 출발해 약 2천500명을 수송할 수 있다고 전했다. 비행 일정
'슈퍼태풍' 마와르로 한국 여행객들의 발이 묶였던 태평양 휴양지 괌 하늘길이 다시 열리면서 29일 국적기 11편이 현지로 출발한다. 외교부는 이날 공지를 통해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9일 한국에서 괌으로 출발하는 우리 국적기는 총 11편으로 약 2천500명 수송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전했다. 외교부와 국토교통부는 국민들의 조속한 귀국을 위해 국적기 증편 및 증설을 협의해 왔다. 이날 출발하는 우리 국적기들은 29∼30일에 걸쳐 괌에 도착할 예정이며, 가장 빨리 인천공항으로 돌아올 항공편은 29일 오후 8시 40분께 인천공항에 도착하는 진에어 항공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직원 총 6명을 신속대응팀으로 괌 현지에 파견한다. 이들은 국제공항 출국장에서 국민들의 출국 수속을 지원하고 응급환자 대응, 현지 당국과 교섭 등을 한 뒤 한국 여행객들이 모두 귀국한 이후 철수할 예정이다. 이날 오전 김준 해외안전지킴센터장을 비롯한 직원 4명이 1차 신속대응팀으로 출발했고, 신속대응팀 단장인 정강 해외안전관리기획관 등 2명이 오후 추가로 괌으로 향한다.
'슈퍼태풍' 마와르로 인해 휴양지 괌에 발목이 잡혔던 한국 관광객들이 국적항공사들의 운항 재개로 29일부터 귀국길에 오르게 됐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이하 출·도착지 현지시간 기준) 괌 국제공항 운영이 재개됨에 따라 4개 국적항공사의 대체운항편과 정기편이 재운항된다. 대한항공[003490]은 신속한 승객 수송을 위해 2편의 대체항공편을 전날 예고대로 운항한다. 우선 29일 오후 7시 괌에서 출발해 오후 10시 45분 인천에 도착하는 대체운항편이 운항한다. 투입되는 기종은 338석 규모의 대형 기종인 보잉 777-300이다. 또 30일 오전 0시 괌에서 출발해 오전 3시 45분 인천에 도착하는 대체항공편이 추가 편성됐다. 총 276석 규모의 A330-300 기종이다. 이어 30일에는 인천∼괌 정기편 2편을 다시 운항하되, 이 가운데 1편은 기존 138석 규모의 보잉 737-800 기종을 보잉 777-300으로 변경해 관광객들의 빠른 귀국길을 돕는다. 나머지 1편은 평소처럼 272석 규모의 에어버스 A 330-300 기종으로 운항한다. 제주항공[089590]은 29일 인천∼괌 왕복편과 부산∼괌 왕복편에 대한 운항을 재개하고, 인천∼괌 왕복 1편을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 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 참석해 누리호 3차 발사 성공과 탑재 위성 상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