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신장 적신호…생활습관병 치료하고 금연해야
건강검진 결과지를 받아들면 ‘혈청 크레아티닌’, ‘신사구체여과율’이라는 단어를 마주할 수 있다. 정상범위를 벗어나면 신장내과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크레아티닌은 에너지원이 되는 크레아틴의 대사산물이다. 간에서 생산된 크레아틴은 근육세포에서 흡수되는데, 일부는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운반되고 사구체에서 여과된 후 배설된다. 크레아티닌은 체내 대사 과정에서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생성되며,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신장의 사구체 여과를 통해서만 체외로 배출되기 때문에 혈액 중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하는 것만으로도 개인의 신장 기능을 추정할 수 있다.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낮을수록 신사구체여과율은 높게 측정되며, 반대로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을수록 신사구체여과율은 낮게 측정된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정상 범위는 여성 0.47~0.79㎎/dL, 남성 0.61~1.04㎎/dL이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높은 경우는 콩팥기능이 저하됐거나 근육량이 많은 경우, 고단백식이를 할 경우, 탈수 등의 경우다. 요붕증이 있거나 근육량이 적은 고령자, 오랜 시간 병상에 있던 환자, 신경근육질환이 있는 환자, 등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떨어질 수 있다. 사구체여과율(Glomerular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