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 수원교구는 21일 오후 11시 53분 선종한 천주교 수원교구 김영배(요한사도) 신부의 장례미사를 24일 오전 10시 천주교 수원교구 정자동주교좌성당에서 거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미사는 교구 총대리 이성효(리노) 주교 주례, 교구장대리 문희종(요한세례자) 주교와 제3대 교구장 최덕기(바오로) 주교, 교구 사제단 공동집전으로 봉헌됐으며 사제단·수도자·신자 1420여 명이 참석했다. 이성효 주교는 강론을 통해 “신부님은 당신의 서품 성구인 ‘기쁨으로 주님 섬겨 드려라’를 몸소 사셨던 분”이라며 “50년간 교구를 위해 기도하시고, 교구의 발전을 위해 손과 발로 열심히 뛰며 봉헌하셨던 그 희생과 노력은 하느님의 큰 축복으로 신부님께 다가올 것”이라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고별식은 문희종 주교가 주례한 가운데 ▲분향 ▲약력 소개 ▲고별사 순으로 진행됐다. 고인의 동창인 최덕기 주교는 고별사에서 “김영배 신부님은 사제로서 강론과 말씀을 잘하셔서 평화방송 신앙상담자로 활동했으며, 글을 잘 써 책을 여러 권 낸 저자이기도 하다. 손재주도 좋고 무슨 일이든 똑소리 나게 해냈던 그야말로 팔방미인이었다”며 고인을 회고했다. 그러면서 “신부님의 책을 보니, 고통을 많이 받
천주교 수원교구는 동수원 본당 새 성당 기공 미사와 기공식이 20일 오전 10시 30분 동수원 성당 신축 부지에서 총대로 이성효(리노) 주교 주례로 거행된다고 밝혔다. ‘수원시 영통구 창룡대로 267’에 들어서는 동수원 성당은 대지면적 5851㎡에 2개 동이 지어진다. 성전으로 사용될 1동은 연면적 1147.68㎡, 지하 1층에서 지상 2층 규모이다. 2동은 지하1층에서 지상 3층 규모로, 연면적 1682.47㎡에 1층 교리실·회의실, 2층 대강당·주방, 3층 사제관·교리실이 자리한다. 본당에서는 2025년 12월 31일 새 성당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동수원 본당 공동체는 2000년 1월 25일 설립 이후 최근까지 약 25년 동안, 수원시 이의동 초입에 지은 임시 건물 성당에서 미사를 봉헌해 왔다. 현재는 신축 부지 내 임시 성전에서 신앙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동수원 본당은 2011년 본당 주임으로 부임한 최성환(바오로) 신부는 당시 광교 신도시 입주로 신자 수가 늘어나자 신자의 신앙생활을 위해 성전 신축을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이에, 본당 공동체는 바자회, 후원물품 판매, 각 단체별 예산 절감 등 기금 확보와 공동체 결집을 위한 음악회, 체육대회 실
천주교 수원교구 故 이호권 바르나바 신부가 지난 5일 정자동 주교좌성당에서 장례 미사를 마치고 하느님의 품에 잠들었다. 1995년 1월 20일 사제품을 받은 故 이호권 신부는 25년간 교구 7개 본당에서 신자들과 함께 생활하다 2017년 위암과 담낭, 담도암 진단을 받아 휴양했다. 이후 투병 중이던 이 신부는 2020년 9월 3일, 병상에서 미사를 드린 후 평온하게 주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故 이호권 신부의 장례미사는 교구장 이용훈 마티아 주교의 주례로 유가족과 동창 사제단이 참석한 가운데 거행됐다. 이용훈 주교는 강론을 통해 “이호권 신부는 병상에서 동창 사제들과 미사를 봉헌하고, 주님의 성체와 성혈을 영한 후 주무시듯 평온하게 주님의 품에 가셨다”고 이야기했다. 특히 이용훈 주교는 이호권 신부가 임종하기 며칠 전 방문했다고 밝히며 ‘저에게 생명을 주신 분도, 거둬가신 분도 주님이심을 저는 굳게 믿고 있기에 두려움 없이 평온하게 지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호권 신부가 ‘지금까지 저를 주님의 사제로 행복하게 살게 해 주신 성모님께 형언할 수 없는 감사를 드린다’며 ‘형제 사제들과 교우들에게 사랑과 위로를 많이 받았는데, 건강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