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추간판탈출증 즉, 허리 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에 위치한 추간판(디스크)이 손상돼 내부의 수핵이 탈출하거나 돌출돼 신경을 압박하는 상태를 말한다. 현대인의 생활습관으로 인해 흔하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다. 잘못된 자세, 과도한 체중, 반복적인 허리 부담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진행되면 심한 통증, 다리 저림, 움직임 제한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요통과 방사통이 있다. 요통은 허리 부위에 국한된 통증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오래 앉아 있을 때 더 심해질 수 있다. 방사통은 허리에서 시작해 엉덩이, 다리, 발까지 퍼지는 통증을 말한다. 이러한 방사통은 신경이 눌려 발생하며, 주로 한쪽 다리에 집중된다. 통증은 기침이나 재채기, 심지어 웃을 때도 악화될 수 있다. 허리 디스크로 인해 신경근이 압박되면 하지 방사통 외에도 다리의 감각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리가 저리거나 타는 듯한 느낌, 또는 무감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을 초래한다. 감각 이상 외에도 근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발목이나 발가락을 들어 올리는 동작이 어려워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심한 경우, 허리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노년층뿐만 아니라 20~30대에서도 많이 발생하는 척추질환이다. 오래 앉아 있거나 허리를 구부리는 등 잘못된 자세, 넘어지거나 엉덩방아를 찧는 외상, 무거운 물건을 갑작스레 들어 올리는 등 여러 가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디스크 발생시 디스크 절제술, 디스크 제거술, 추간판 절제술을 하면 디스크가 완치될까? 윌스기념병원 한방상 원장은 ‘수술을 한다고 디스크가 새것처럼 좋아질 수는 없다’고 말한다. 허리 디스크 탈출증은 대개 ‘이미 어느정도 퇴행성 변화를 겪은 디스크’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디스크가 손상돼 적절한 회복을 못하는 경우 점차 디스크를 구성하는 세포들이 죽어가게 되고, 디스크 압력이 증가한다. 이 중에서 일부는 디스크의 약한 부위를 뚫고 튀어나와 엉치와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이런 증상이 적절한 비수술적 치료로 해결 되지 않을 경우 최종적으로 수술로 터져 나온 디스크 파편을 제거한다. 적절한 시기에 수술적 치료를 잘 받을 경우, 디스크 압력으로 인한 요통이나 신경 압박으로 인한 엉치 하지의 방사통증이 많이 호전된다. 디스크를 새것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로 인한 심한 ‘증상’을 해결해주는 것이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