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9 (화)

  • 흐림동두천 24.1℃
  • 구름많음강릉 24.6℃
  • 흐림서울 24.1℃
  • 대전 23.3℃
  • 대구 24.1℃
  • 천둥번개울산 23.6℃
  • 광주 24.7℃
  • 흐림부산 25.3℃
  • 흐림고창 23.8℃
  • 구름많음제주 32.1℃
  • 흐림강화 22.2℃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3.8℃
  • 흐림강진군 26.6℃
  • 흐림경주시 24.2℃
  • 흐림거제 24.8℃
기상청 제공

‘혐오시설 수목장’은 옛말! 도, 선호시설 만들기 앞장

수도권 주민 70% “수목장림 이용할 수 있다”
가평 등 후보지 6곳 선정… 내달 주민설명회

사람과 숲(나무)은 서로 공존하며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회귀한다는 상생의 섭리에 근거한 수목장. 개성화되는 장례의식과 삶과 죽음에 대한 철학적 관점에 맞춰 자연친화적 방법으로 마련된 장묘법이 이제는 손뻗으면 닿을 곳까지 다가왔다.

장묘법이 개정됐고 주변의 인식도 장묘문화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장묘방법으로 변하고 있다. 자연휴양림과 산림욕장의 기능을 특화할 수 있고, 나아가 ‘치유의 숲’, ‘공존의 숲’으로 만들어지는 시대에 수목장은 숲이 인간에게 제공하는 최후의 혜택이다.

사람이 숲으로 돌아가는 마지막 의례인 장묘, 숲은 원래부터 자연(스스로 그렇게 있고)스럽게 있었고 이젠 사람이 자연스럽게 다가서고 있다. 이에 따라 본보는 3회에 걸쳐 수목장의 필요성을 집중 보도한다.


*글 싣는 순서
1. 수목장의 시작
2. 수목장의 해외사례
3. 도내 수목장의 설립방안


수목장림 조성에 대한 준비는 올 5월 장묘 등에 관한 법률이 바뀌면서 더욱 구체화되고 있다.

경기도는 전체면적의 52%가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택지개발, 산업단지조성, 도로건설 등으로 매년 2천ha 정도의 산림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장묘문화에 따른 자연훼손은 해가 거듭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도내 공설 사설 묘지가 99개소에 1천485ha가 조성, 면적으로는 전국 6천241ha의 24%에 달하는 실정이다.

◇ 수도권 70% 수목장 긍정 = 수도권 지역 주민 10명 중 7명이 수목장 이용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주민 3천80명을 대상으로 ‘수목장림 이용 설문조사’를 한 결과 70.2%가 ‘수목장림을 이용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를 바탕으로 가평군 상면·북면, 포천시 영북면, 남양주시 화도읍·수동면, 여주군 강천면 등 6곳을 수목장림 후보지로 선정, 긍정적 의견이 있는 시·군 우선협의 및 주민 설명회 개최를 다음달부터 실시, 다음해 실시설계비와 영향평가비용 등 예산을 평가한 이후 2009년도 상반기 착수를 목표로 추진중이다.

수목장림이 조성되는 지역은 해당 시·군에 대해서는 일부 시설물 위탁관리로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발전기금 지원 등의 혜택도 뒤따르게 될 전망이다.

◇ 도, 50ha 규모 수목장림 = 도에서 추진하는 수목장림은 50ha 50억 규모다.

추모목은 1ha당 200본(그루)로 유골함을 1위(개)~5위로 구분지어 묻는 방안과 각 나무별 정보를 구분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시스템(GIS) 도입하고 유골함 위에 세우는 푯말대신 손바닥만한 명찰(15㎝×10㎝)로 대체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기간도 30년~50년 계약제 도입을 고려중이다.

특히 수목장림은 달리 상여차, 운구, 상복 등 장례문화에 사용되는 물품을 제안토록 해 기존 화장장, 납골당과는 달리 기피·혐오시설로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김문수 지사는 지난 21일 가평군수와의 면담에서 “지역주민에게 도가 고민하는 장례문화의 변화 방안인 수목장림은 혐오시설의 이미지가 탈피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 기대효과 = 도 묘지면적은 2만4천ha로 전국의 24%, 수원시 면적의 2배에 달한다.

도내 사망자도 2005년 4만2천615명로 2010년까지 매해 평균 4만6천982명씩 사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각계 전문가들은 수목장림 조성이 기존 산림을 보호하는 것과 동시에 님비현상이나 돈벌이 수단이 될 가능성에 대해 걱정했다.

산림조합중앙회 이근배 기획팀장은 “지역주민들이 혐오시설로 오인하거나 돈벌이 수단으로 손익을 계산, 장묘문화자체가 왜곡되는 현실이 걱정된다”며 “국가와 지자체가 우선 실시해 수목장림의 원래 취지인 친자연적인 장묘문화를 만들면서 민간이 참여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 최형근 농정국장도 “자연으로 회귀하는 방법의 수목장림이 좁은 국토에서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며 “한국형 모델을 고려, 해당 지자체가 직접 운영할 수 있는 방안과 20ha이상 조성하도록 하는 일정한 기준자격을 마련해 공공성을 확보하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앞서 고려대학교 변우혁 교수는 ‘수목장 에코다잉의 세계’의 책에서 “우선 기존 묘지에 다시 나무를 심어 숲으로 환원하는 묘지형 수목장과 기존의 산이나 자연의 숲에서 골분을 묻는 산림형 수목장이 있다”며 “독일이나 일본의 경우 기존 봉문이 있는 묘지의 관리한계에 따른 장묘문화의 변화처럼 자연과 예법을 중시할 수 있다”고 주장해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