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2.7℃
  • 흐림강릉 23.5℃
  • 서울 24.4℃
  • 흐림대전 24.8℃
  • 대구 23.8℃
  • 흐림울산 24.7℃
  • 광주 24.2℃
  • 부산 24.3℃
  • 흐림고창 25.0℃
  • 흐림제주 27.8℃
  • 흐림강화 23.0℃
  • 흐림보은 23.4℃
  • 흐림금산 24.3℃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국·도비 지원 ‘그림의 떡’‘표류하는’ 도내 도시공원

경기도가 친화적 도시환경을 목표로 추진중인 도내 19개 도시공원 조성사업이 예산부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도시공원 조성 결정 이후에도 사업을 마무리하지 못한 공원이 2천687곳에 달하는 등 도시공원 조성 계획 대비 37%의 조성률에 그쳐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9일 도에 따르면 올해 도내 각 지자체가 추진중인 도시공원사업은 시흥시는 정왕호수공원(7만7430㎡)을 비롯, 광주시 중대물빛공원(23만1천60㎡), 군포시 당정근린공원(2만5천199㎡) 등 19곳에 159만㎡에 달한다.

이에 따른 사업비만 2천4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도는 지난해부터 도시공원 조성사업 추진을 위한 200억원의 국비지원을 요청하고 있으나 정부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공원조성사업은 지자체 사업이어서 국비지원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까지 지원되던 일선 시·군의 도시공원사업비에 대한 도 지원도 중단돼 해당 시·군이 공사비는 물론 토지보상비 등을 부담하기 위한 재정압박이 갈수록 커져 상당수의 공원사업이 지지부진해 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또한 경기도에 그 흔한 ‘공원과’가 없는 점도 각 지자체의 공원사업추진에 또다른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내 도시공원 면적은 도시공원법상 권장기준인 1인당 6㎡보다 많은 7㎡지만, WHO 권장기준에는 못미친다”며 “갈수록 공원 조성 필요성이 강조되지만 예산을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