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가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부지에 경기도농업기술원의 이전 계획을 추진중인 가운데(본보 10월31일 1면 보도), 도가 도농기원 부지를 팔아 남는 수익금으로 수원 광교신도시에 이전하려다 보류된 신청사의 이전비용을 충당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특히 서울농대가 10년 가까이 폐쇄돼 서수원권 일대의 슬럼가 전락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나온 이번 계획으로 도가 서수원 주민 피해는 아랑곳없이 ‘도청 광교 이전’에만 급급한 채 광교신도시와 서수원권 주민간 새로운 갈등을 조장할 수도 있다는 우려마저 나온다.
4일 도에 따르면 도는 약 15만㎡의 서울대 농생대 부지에 이미 경인교대 경기캠퍼스와의 맞교환 당시 발표한 농업테마파크 조성 등의 계획이 아닌 도농기원을 분할 이전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도가 개발여력이 무한한 화성시 기산동 315-14 일원 도농기원 26만㎡ 부지를 매각한 뒤 매각대금 등으로 도청사의 광교 이전비용을 구체화하려는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도농기원이 위치한 화성시 기산동 일대는 국도 1호선 병점역과 인접한 태안 택지개발지구를 비롯해 동탄신도시, 신영통 등 경기 남부권의 노른자위 땅으로 평가되고 있는데다 아파트 건설 등 택지개발사업 추진이 논의되면서 도농기원의 부지 매각시 땅값만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도청 이전에 필요한 상당 예산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실제 도농기원의 올해 초 기준의 ㎡당 공시지가는 30~40만원 정도지만, 인근 아파트와 주택가 등의 경우 공시지가는 ㎡당 약 150만원대로 나타나 이런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결국 도청이전 재원 마련을 위해 도농기원 부지를 팔고, 서울농대 부지로 이전이 확정될 경우 도가 공공연히 내세운 농업테마파크 조성과 개방 등 서수원권 주민들을 위한 계획 자체가 무산될 것이란 주장이다.
더욱이 도농기원 부지 매각대금으로 ‘도청 광교 이전’이 가속화되면 이를 요구해온 광교신도시 주민들의 찬성과 달리 서수원권 주민들의 또 다른 반발이 예상돼 수원시민 간의 갈등마저 우려된다.
농대부지개방추진위 전 관계자는 “연구시설을 이전하면 반쪽 개방에 불과한데 결국 도가 땅장사로 김문수 띄우기나 하면서 주민들을 기만한 꼴밖에 더 되느냐”며 “광교신도시 사람들만 경기도민이고, 돈없는 서수원 주민들은 경기도민도 아닌 그냥 수원시민이냐”며 반발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도농기원 부지 매각으로 생기는 수입은 도청 이전을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현재 도농기원 본부를 제외한 일부 연구시설의 광교신도시내 도청 부지 인근으로 이전하는 용도로 사용될 것”이라며 “도는 서수원권 주민의 고통을 잘 알고 있어 도농기원의 서울농대 부지 이전을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도는 도청사 이전과 관련, 지난해 기본·실시설계 예산으로 39억원을 확보해 내년말까지 설계용역을 마치고 4천900여억원을 들여 2014년 착공 예정이었으나 세수 감소 등 재정난 여파로 재원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업 추진을 잠정 보류,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