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올해 처음 이달부터 시행하는 학부모회 선거를 둘러싸고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되는 등 각종 민원이 잇따라 말썽을 빚고 있다.
더욱이 학부모회가 구성된 일부 학교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 등 기존 학교 관련 위원회 등과의 보이지 않는 힘겨루기까지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또다른 ‘학부모 감투다툼’의 학내외 갈등으로 이어지는 등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27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도내 공립 초·중·고등학교는 ‘학부모회 조례’ 제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학부모회를 구성하고 회장, 부회장과 감사를 선출해야 한다.
이에 따라 모든 공립학교는 개학 후 가정통신문을 통해 이를 안내하고 임원 후보자를 지원받아 선거를 치렀다.
그러나 일부 학부모가 도교육청 감사관실에 선거부정을 조사해달라는 진정서를 제출하는 등 문제제기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화성 A초등학교 학부모회장 선거에 나갔다는 B씨는 “학교장이 선거를 앞두고 학부모들에게 공공연하게 특정 후보자를 지지하는 발언을 해 공정성을 훼손했다”며 “정원보다 많은 후보자가 지원하면 투표를 피하려고 특정 후보자에게 사퇴를 권유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현행 조례에 따르면 입후보자 인원수와 최종 선출 정원이 같으면 투표절차를 거치지 않고 후보자 전원을 임원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당장 이같은 문제제기로 화성·오산 교육지원청은 해당 학교에 대해 사실 관계를 파악하고 있다.
학부모 B씨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진정서를 지난 26일 도교육청 감사관실에 제출하기도 했다.
용인의 한 초교 학부모는 “교장이 입맛에 맞는 사람에게 전화해 선거에 꼭 나와줄 것을 당부했다는 소문이 있다”며 “학부모들이 몇표를 얻었는지 결과도 확인되지 않은 채 5명의 위원이 당선됐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더욱이 학부모회를 구성한 일부 학교를 중심으로 학부모회와 학교운영위원회 등의 노골적인 힘겨루기까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학교의 속앓이도 적지않은 실정이다.
학부모 C씨는 “대부분 무투표로 당선되는 학운위나 학부모회를 굳이 만들라는 이유도 모를뿐 더러 감투싸움과 힘겨루기 등도 공공연한 사실”이라며 “지금이라도 제대로 정리하고 효율적인 학사운영 등에 대해 대책을 세우는게 백번 나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남 D교의 한 교사는 “교장에 교감, 학운위원장 모자라 이젠 학부모회 눈치까지 봐가며 학교에 나가는 실정”이라고 한탄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부모회 조례 시행 첫해다 보니 관련된 민원이 접수될 때마다 사실 관계를 파악하고 있지만 조례에 벗어나 문제를 일으킨 곳은 아직 없다”며 “내달 학교 현장에 나가 학부모회 구성의 어려움, 이점 등을 점검하는 컨설팅을 벌일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