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전거 도시’를 내건 수원시가 지난달부터 시민들이 즐겨찾는 광교저수지 주변 광교산로에 조성중인 자전거도로와 산책로를 충분한 검토없이 선 시공에 나섰다가 재설계에 들어가는 등 말썽을 빚고 있다.
더욱이 시는 계획이 알려진 직후 자전거동호인 등의 우려와 건의도 뒤로한 채 막무가내 시공만 고집했다.
결국 이용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예상과 사고 위험이 도사린다는 우려가 이어지자 뒤늦게 설계변경에 나서 시민들로부터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28일 수원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월부터 경기대 입구의 반딧불이 화장실에서 광교산 등산안내소가 위치한 다슬기 화장실을 잇는 4.25㎞를 3구간으로 나눠 자전거도로 및 산책로 공사를 진행 중이다.
시는 16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반딧불이화장실~광교쉼터 간 약 1.5㎞ 구간을 1단계 공사구간으로 정해 기존의 보도 일부를 자전거 전용으로 전환하고, 저수지 펜스 안쪽으로 폭 2.7m의 나무데크 산책로를 새로 설치하기로 했다.
시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사고위험성과 이용 불편 등이 계속 제기됐음에도 자전거도로를 기존의 차로 양옆에 편도 1.5m폭으로 각각 설치하기로 하고, 현재의 인도 일부를 들어내기로 하는 등 공사를 강행했다.
당장 공사가 시작되면서 광교쉼터에서 반딧불이화장실 방향으로 설치된 인도의 가로등주와 표지판 등 수많은 지장물에 따른 민원은 물론 자전거도로의 차도 변질, 보행자 진입가능성, 사고 위험 등의 문제가 연이어 제기됐다.
더욱이 자전거동호인은 물론 시민들조차 저수지 수변데크 설치로 인한 환경오염의 등을 우려했다.
시를 논란과 불편을 호소하는 비난여론을 잠재우려 계획을 바꿔 재설계에 들어간 상태다.
이에 따라 시는 기존 인도의 절반 정도를 들어내고 편도의 자전거도로 설치 계획에서 인도를 자전거 전용도로로 활용한다는 방침으로 돌아섰지만 ‘생색내기 행정’이란 눈총은 계속되고 있다.
김모(61)씨는 “115만 수원시민은 물론 경기남부권의 대표적인 시민공원인 광교저수지와 광교산 주변에 친환경도시답게 자전거도로와 친수데크를 설치한다는 계획만 좋았다”며 “계획단계에서부터 이미 많은 우려가 있었지만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다가 뒤늦게 재설계에 나서는 행정은 과연 누굴 위한 것이냐”고 말했다.
이모(32)씨는 “광교저수지 산책로와 광교산은 자전거동호인들이 즐겨 찾는 대표적인 길이지만 각종 장애물은 물론 오가는 시민들과 뒤엉켜 늘 사고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는 상태”라며 “아무리 예산집행이 공무원 마음대로라지만 기존 환경을 활용해 개선할 생각은 없이 어떻게든 시민혈세를 써대고 생색내려는 졸속행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기존 인도의 표면 재질 등이 자전거도로로 적합하지 않고, 각종 우려가 있는 것은 알고 있다”며 “수변데크 설치를 통한 산책로 조성을 마무리한 뒤 기존 인도의 장애물 이설과 새로운 포장 등으로 자전거도로를 설치하기 위해 재설계 중”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