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한 해 경기도로 이사온 사람은 총 65만명 이었으며 이 가운데 54.4%가 서울시에서 온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도가 통계청의 인구이동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다른 시도에서 경기도로 전입한 인구는 65만397명이으로 집계됐다.
도에서 빠져나간 인구는 56만8천명이다.
8만2천753명의 인구가 도로 순이동(전입-전출)한 것이다.
도 전입은 서울시가 전체의 54.4%인 35만4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인천광역시 6만5천명(10.0%), 충청남도 3만3천명(5.1%) 순이었다.
도민이 가장 많이 전출한 지역도 다른 시도에서 도로 전입한 지역 순서와 같았다.
서울시가 25만4천명(44.8%)으로 역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천광역시 7만6천명(13.5%), 충청남도 3만7천명(6.6%)으로 나타났다.
시·군별 순이동(전입-전출)을 보면 도내 순이동 인구 8만2천753명 가운데 64.1%가 김포시(2만9천명)와 수원시(2만4천명)에 몰렸다.
이는 김포 한강신도시와 수원 광교신도시 등의 개발로 인한 입주 영향으로 분석됐다.
시·군별 순유출 인구는 부천·안양(7천500명), 성남(6천300명) 순으로 많았다.
인구이동 이유는 주택, 직업, 가족, 교육 등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30대가 60.3%로 가장 많았다.
도 관계자는 “도의 총이동율은 2001년 31.0%를 정점으로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로 전입, 전출이 줄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