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도내 버스업체의 적자보전을 위해 매년 600억원 이상을 지원하고 있으나 서비스 질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국토교통위 이명수(새·충남 아산)에 따르면 도는 최근 5년간 도내 시내버스업체 2천935억원, 시외버스업체 411억원 등 총 3천346억원을 버스업체에 지원 했다.
연도별로는 2008년 666억원, 2009년 694억원, 2010년 640억원, 2011년 649억원, 지난해 697억원 등이다.
연평균 669억원이 버스회사의 적자를 메우는데 투입됐다.
하지만 버스업체의 서비스 질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9~10일 도가 시내버스업체 37곳을 대상으로 지도점검을 벌인 결과 29곳에서 임의 증·감차 등 92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또 지난해 4~5월 55개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벌인 점검에서도 173건의 위반사항이 적발됐다.
적발 유형은 무정차와 난폭운전 등 불친절 91건, 감차·감회 54건, 결행·단축 14건, 배차간격 5건, 차량 정비 불량 5건, 증차·증회 4건 등이다.
이 의원은 “출퇴근 시간 무정차, 난폭운전은 통근 스트레스를 가중시켜 승객들 본연의 업무에도 지장을 주게 된다”며 “2층버스 도입 등 버스서비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