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문화재에 전담 인력을 배치해 관리하는 ‘문화재 돌봄사업’을 도 지정 문화재로 확대한다.
경기도는 국가지정문화재와 일부 비지정문화재 등 134곳(국가지정 92곳, 비지정 42곳)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문화재 돌봄사업 대상을 도 지정문화재 383곳을 추가해 517곳으로 늘리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은 보수, 정비에 머물던 기존 관리방식에서 벗어난 상시 관리 전담 인력을 배치, 훼손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적 관리 사업으로 도가 지난해 도입했다.
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이를 위해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문화재 돌보미 28명을 채용했다.
이들은 교육을 거쳐 517개 현장에 상시 관리 요원으로 배치, 1주일 간격으로 각 문화재를 돌며 위해요인 사전차단, 주변 환경정리, 경미한 보수 등을 실시한다.
관리 내용도 견실해진다. 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지난해 사업평가를 토대로 ▲계절별 문화재 일상관리 및 보존·보수 활동 강화 ▲문화재 진입로 주변에 자생초 이식 ▲천연기념물 등 보호수의 받침대 제작 ▲문화재 안내판·표지판·표지석 정비 등을 통해 도민에게 쾌적한 문화재 관람환경을 제공한다.
또 지난해 실시했던 목조문화재 흰개미 및 각종 해충 피해 조사결과를 토대로 흰개미 제거 트랩설치, 방충제 도포 등 유해생물 제거에 나선다.
이와 함께 문화재 돌봄사업 홈페이지 제작 등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도민이 문화재 보호와 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화재 명예 돌보미(가칭)’도 모집한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미흡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자생초 이식, 보호수 받침대 제작 등 새롭게 시작되는 사업들을 충실히 수행해 효율적이고 촘촘한 문화재 돌봄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