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에 설립된 협동조합 10곳 가운데 3곳 이상이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자금이 부족한 데다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 없이 조합 설립에만 급급했던 게 원인이다.
25일 경기개발연구원 남승연 연구위원이 발표한 ‘경기도 협동조합의 현주소와 지속가능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올해 9월까지 총 872개의 협동조합이 도내에 설립됐다.
전체 6천61개 가운데 14.4%다.
일반협동조합이 824개(94.5%)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사회적협동조합(5.5%)도 48개가 설립됐다.
일반협동조합 가운데는 도·소매업이 216개(26.2%)로 가장 많았고, 이어 교육서비스업 108개(13.1%), 제조업 88개(10.7%) 등의 순이었다.
이들의 평균 조합원 수는 10.3명, 평균 출자금은 1천751만원 이었다.
문제는 협동조합 설립 후 실제 운영되고 있는 곳이 69.7%에 불과하단 것이다.
10곳 중 3곳 이상이 조합만 설립한 채 운영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운영자금 부족(11.2%)과 구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이 없는 게(8.4%)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협동조합을 설립하기 전 80.9%가 교육을 받았으나 구체적인 사업모델 구축 등의 컨설팅은 27.5%에 그친 반면 설립방법과 절차(66.3%), 운영원리(56.2%), 성공사례(43.8%) 등에 초점이 맞춰진 것도 원인중 하나다.
지역 협동조합간 네트워킹도 62.9%에 불과, 장기적 측면에서 협동조합의 자생력과 지속가능성도 우려됐다.
남 연구위원은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협동조합의 양적 활성화는 이뤘지만 내용이나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 한층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정부정책은 간접지원임을 명확히 하고 협동조합 정책 방향에 대해 시민들과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어 “협동조합 설립 붐이 일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정부가 모델을 개발하고 시범사업을 운영, 네트워크 주체로 참여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