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사람 중심의 열린 공동체인 ‘따복공동체’를 올해부터 본격 조성한다.
특히 관(官) 개입을 최소화해 주민 스스로 지속 가능한 공동체를 형성토록 유도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4일 집무실에서 ‘넥스트(NEXT)경기 따복’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수요자 입장이 가장 중요하다. 관(官) 개입을 최소화하고, 원하는 곳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원을 하겠다”고 따복공동체 사업의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도는 따복공동체의 방향을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가 함께 하는 지속가능한 삶터 조성으로 정했다.
조성은 체계구축, 역량강화, 사업시행 등 3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먼저 오는 3월까지 따복공동체 조례 개정과 따복공동체위원회를 구성하고, 4월에는 사례조사와 교육·사업추진 등 총괄 기능을 할 따복공동체 지원센터를 남북부에 1곳씩 설립한다.
센터 운영은 민간전문가에게 맡길 예정이다.
역량강화는 주민과 공무원·외부전문가 육성을 위한 교육, 마을계획 수립, 컨설팅, 마을·사회적경제 활동가 발굴·육성, 민간네트워크 활성화 등이 골자다.
이를 통해 올해 400명, 내년 900명 등 오는 2018년까지 3천명 규모의 따복공동체 활동가를 양성하고 10만명의 주민이 참여토록 할 계획이다.
도는 따복공동체 비전과 추진방향 등을 정립하고자 경기연구원과 함께 5개년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이달 중 시행할 계획이다.
코레일, 도교육청, 31개 시·군 등 유관기관과 따복공동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청년창작소, 작은도서관, 마을공동체 문화공간, 청소년휴카페 등 도 11개 실·국에서 추진하는 19개 마을공동체 사업을 따복공동체 사업과 연계할 예정이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