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시·군, 경기도경찰청, 경기도교육청, 도내 지역아동센터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학대아동 예방 조기발견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또 이들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와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16일 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학대아동 예방 및 조기발견 시스템 구축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아동학대예방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이재율 도 행정1부지사와 관련 실국장, 서남철 경기도교육청 안전지원국장, 유진형 경기지방경찰청 2부장, 김미호 경기도아동보호전문기관장, 가천대 안재진 사회복지학과장, 수원·평택·부천·여주시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도는 학대아동 조기발견을 위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지역아동센터, 통장·반장·이장 등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하기로 했다.
또 도를 중심으로 시·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함께하는 학대아동 보호와 지원체계도 강화한다.
도는 이를 위해 도, 시·군, 경찰청이 함께하는 합동 TF팀을 구성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보호를 받았던 아동 7천4명의 소재와 안전 여부를 이달말까지 확인하기로 했다.
확인 이후 재학대가 의심되면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경찰이 동행해 면담을 한 뒤 피해사례 발견 시 보호 조치와 심리치료를 할 예정이다.
읍면동 주민센터와 통·반·이장과 각종 협의회 등 지역사회 리더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발견 및 신고 방법을 교육하고,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에 아동인권관을 설치하는 등 도민 인식개선 사업도 벌인다.
교육청은 시군과 협조해 장기결석아동을 조사하고, 경찰청은 아동학대신고 조사 시 동행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다양한 현장의 애로와 개선사항들이 쏟아졌다.
사회복지전문가들은 아동보호 관련 인력의 증원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지역아동센터에서는 경제적 문제로 아동 돌봄을 실시하는 현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다.
남 지사는 대책회의를 마치면서 “복지사와 학교폭력전담관 확충 등 인력지원의 예산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도와 교육청, 경찰청이 할 일을 조율할 수 있는 상시적 기구를 마련해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경환기자 j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