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재난·재해 사고 대비
실질적 도움주는 가입 미온적”
도내 지난해 산악사고 1983건
실족추락 등 사고 매년 증가세
논산시 자동가입 시행 비교돼
본격적인 봄철을 맞아 산행을 즐기는 등산객들이 늘고 있지만 정작 산행 중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사고에 대비한 보험가입은 꺼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사고발생시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일고 있다.
특히 일부 지자체의 경우 시민들이 예상치 못한 사고를 당했을 경우를 대비해 ‘시민안전보험’을 자동으로 가입시키고 있어 도내 일선 지자체들 역시 ‘전시행정 논란’에도 불구, 사실상 필수처럼 된 ‘자전거보험’을 확대·추진해야 한다는 주장마저 제기되고 있다.
11일 경기도재난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에서 실족추락 454건, 일반조난 405건, 기타 868건 등 총 1천983건의 산악사고가 발생하는 등 자신의 체력을 감안하지 않은 무리한 산행과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한 낙상사고 등 각종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2013년 실족추락 434건, 일반조난 325건, 기타 669건 등 1천652건, 2014년 실족추락 450건, 일반조난 422건, 기타 933건 등 총 2천21건이 발생하는 등 산행 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다.
그러나 해마다 산행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반면 대부분의 등산객들은 이같은 사고에 대비한 보험가입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의식개선이 시급하단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지자체들이 경쟁하듯 가입하고 있는 ‘자전거보험’ 등을 시민의 안전을 담보할 각종 재난보험 등으로 확대·추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또 논산시의 경우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모든 시민에게 별도의 가입절차 없이 산행 사고 뿐 아니라 일상생활 중 예상치 못한 각종 재난·재해 사고를 대비한 ‘시민안전보험’을 자동으로 가입하고 있어 비교되고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산행 등 레져활동이 늘고 있지만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보험을 가입하는 경우는 드물다”며 “보험료가 1천500원~2천원으로 저렴한 반면 상해사망이나 후유장애시 최대 1억 원, 의료비 2천만원 등 보장 범위가 큰 만큼 보험가입은 필수”라고 설명했다.
시민 정모(45·수원)씨는 “자전거보험뿐 아니라 산행과 각종 레포츠를 즐기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만큼 다른 지자체처럼 시민안전보험을 확대·추진해 시민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을 펼쳐야한다”고 지적했다.
수원의 한 산악회 관계자는 “매달 한번씩 정기산행을 하고 있으며 산행 전 회원마다 여행자보험을 가입하고 있다”며 “사고가 언제 어떻게 날지 모르기 때문에 보험 가입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민이면 자전거보험에 자동으로 가입돼 사고시 보장 받을 수 있지만 아직까지 다른 부분에 대한 보험은 추진되고 있는 부분도 없고, 계획도 없는 상태”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민들과 달리 ‘시민안전보험’에 자동으로 가입되는 논산시민들의 경우 오는 2017년 2월까지 사고유형별로 최대 3천만원 한도 내에서 보장받을 수 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