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평화가 곧 세계의 평화입니다.” 15일 인천 내항 8부두에서 열린 ‘인천상륙작전 75주년 기념식’에서 맥아더 장군 4세가 보낸 친서를 낭독하자 현장에 모인 참전 용사들과 시민들의 박수가 이어졌다. 이날 열린 기념식은 참전 용사 26명의 입장으로 시작됐고, 유엔 참전국 국기 22개가 차례로 입장해 국제 사회의 연대를 상징했다. 참전 용사들의 회고와 희생을 담은 헌정 영상이 상영돼 참석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전했다. 기념식 후 이어진 상륙작전 재연 행사에서는 해군·해병대 장병들이 헬기·상륙장갑차·공기부양정 등을 투입해 75년 전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그려냈다. 내항에 정박한 군함 갑판에서는 해군 본부 주관 ‘함상만찬’이 열려 참전 용사와 초청 귀빈들이 마음을 나눴다. 공식 기념식 이후 상상플랫폼 웨이브홀에서 진행돼 ‘호국음악회’에서는 음악으로 고귀한 희생을 기리고 평화의 메시지를 퍼뜨리며 행사의 대미를 장식했다. 이번 행사는 국가보훈부·대한민국 해군·해병대·시가 공동 주관했다. 참전국 대표단 22개·미국 참전용사 재방한단 90명·국가보훈부 장관 등 국내외 주요 인사와 시민 1500여 명 등이 참석했다. 기념식은 5년 주기의 국제행사 원년으로 치러진 만큼
인천시 수산기술지원센터가 추석 명절을 맞아 다음달 2일까지 수산물 판매업소를 대상으로 특별 점검을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주요 성수품의 부정 유통을 방지하고,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수산물 구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진행된다. 특히 추석 성수품인 굴비(조기)·명태·병어 등의 제수용품과 소비량이 많은 수산물이 주 대상이다. 시 특별사법경찰관, 군·구, 수산물명예감시원 등 관계기관과 합동 점검반을 구성해 수산물 관련 제조·유통·판매업체·음식점·전통시장 등을 중심으로 수산물 원산지 표시를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시민들이 원산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점을 악용해 ▲원산지를 혼동·거짓 표시해 판매하는 행위 ▲고의로 원산지를 표시하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 ▲원산지가 다른 동일 품종을 섞어 판매하는 행위 등을 중점 단속한다. 원산지를 거짓·허위 표시한 경우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며, 별도로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5만 원 이상 10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지난해 시는 수산물 판매업소 8256곳을 점검하고 위반업소 75곳(미표시 등 64·거짓 표시11)을 적발해 행정 조치했다. 이동호 시 수산기술지원센터 소장은 “이번
인천시는 부모의 사망·학대·방임 등으로 가정에서 정상적인 보호를 받기 어려운 아동들을 위해 전국 최초로 원가정 복귀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공모 사업으로 시가 선정되면서 진행하고 있는 이 사업은 올해 7월 이후 인천보라매아동센터에 입소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아동이 원가정에서 분리된 직후 일시의 보호 기간 동안 ▲심리·발달 검사와 건강 검진 ▲맞춤형 치료 서비스 ▲광역 단위 보호자원 연계 ▲전문가 상담 및 면접 교섭 ▲아동 보호 조치안 제시 등의 지원을 받는다. 이전에는 보호 대상 아동에 대한 필수 서비스 지원이 양육 시설 분포·의료 기관 연계 등의 군·구별 인프라 부족으로 원활하지 않았다. 또 보호 대상 아동으로 입소하는 아동 중 ADHD, 경계선 지능, 장애 등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아동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특수욕구 아동이 보호 대상 아동으로 입소한 경우, 조기 치료 개입이 어려운 관계로 중증화·장기화 된다는 점도 문제였다. 시는 현재까지 11명의 보호 아동에게 ▲건강 검진 ▲심리 검사 ▲심리·미술·언어 치료 ▲원가정 복귀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고 있다. 앞으로도 시는 ▲맞춤형 치료 서비스 ▲아동·부모·
인천시가 맞벌이 가정의 양육 부담을 완화하고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한다. 시는 이번 달부터 ‘아이플러스(i+) 길러드림’ 시리즈의 핵심 과제인 ‘1040천사 돌봄’과 ‘확장형 시간제 보육’을 동시 시행한다. 양육 부담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통합 지원체계가 마련된 셈이다. ‘1040천사 돌봄’은 기존 정부의 아이 돌봄 서비스 한도인 연 960시간에 시 자체 예산을 더해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에 최대 80시간을 추가 지원하는 정책이다. 이에 따라 최대 1040시간까지 돌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확장형 시간제 보육’은 보육 대상을 취학 전 아동인 만 6세까지로 하며 운영 시간은 평일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9시까지다. 주말·공휴일도 추가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확대 지원받을 수 있다. 생후 6개월부터 36개월까지 영유아를 대상으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용이 가능했던 기존 지원 대상과 시간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기존 시간제 보육은 시간당 2000원·월 60시간 한도로 이용 가능했지만, 이번 달부터는 월 한도 없이 시간당 2000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중구·미추홀구·연수구·남동구·부평구·서구에서 지정된 어린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