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이 우리 경제에 기여한 금액이 1615조 원에 달하며, 전년 대비 60조 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2년 연속 경제 기여 1위 자리를 지켰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매출 상위 100개 사의 지난해 경제 기여액은 총 1615조 1783억 원으로, 2023년(1554조 9360억 원)보다 3.9%(60조 2423억 원) 증가했다. 경제 기여액은 기업이 협력사, 임직원, 정부(세금), 주주 등 이해관계자에게 지급한 금액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57조 5376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147조 1710억 원)보다 7.0% 증가했다. 현대자동차는 115조 2187억 원으로 2위를 차지했고, 기아는 86조 5890억 원으로 3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LG전자(74조 244억 원) ▲현대모비스(52조 1965억 원) ▲GS칼텍스(45조 6535억 원) ▲SK에너지(41조 2588억 원) ▲포스코(38조 8121억 원) ▲삼성물산(38조 4301억 원) ▲LG화학(37조 8880억 원) 등이 상위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경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이 6월 19일부터 유명 아티스트 청신 작가의 작품 전시와 나이키 고객 감사전을 동시에 개최하며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갤러리아백화점 광교점은 6월 19일부터 7월 9일까지 국내 최대 아트 플랫폼 프린트베이커리(PBG) 전속 작가 청신과 함께 아트 프로젝트 'CHUNGSHIN – On the Radiance of Our Lives'를 연다. 청신 작가는 2021년 화랑미술제와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에서 전 작품 완판으로 주목받았고, 2022년 개인전에서는 ‘밤샘 텐트 오픈런’ 현상을 일으키며 미술 애호가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청신의 대표작 '블랙 네온' 시리즈를 포함해 갤러리아에서 처음 선보이는 '평선 블라인드' 시리즈를 전시한다. 노란 블라인드 배경이 더해진 목탄 드로잉 작품으로, 가격은 200만 원대부터 1천만 원대까지 다양하다. 작품 전시와 함께 판매도 병행하며, 아트 굿즈와 다양한 콘텐츠도 마련했다. 갤러리아카드로 20만 원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는 청신 콜라보 아트 굿즈(보냉백)를 일별 60개 한정으로 증정하고, 모바일 앱에서는 영수증 행운번호 추첨을 통해 100만 원 상당의 에디션 판화를 증정한다. 같은 기
LG디스플레이가 1조 2천6백억원 규모의 OLED 설비 투자에 나서며, 국내 첨단기술 경쟁력 확보와 미래 성장 기반 마련에 시동을 걸었다. LG디스플레이는 17일 열린 이사회에서 OLED 신기술 확보를 위한 1조 2천6백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파주 사업장을 중심으로 차세대 OLED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설비 투자로, 2025년 6월 17일부터 2027년 6월 30일까지 약 2년간 진행된다. 이번 결정은 중장기 시설투자(CAPEX) 계획의 일환이며, 별도로 재무구조 개선 노력도 병행할 예정이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기술 경쟁력을 차별화해 디스플레이 시장 내 주도권을 강화하고자 한다. 회사 측은 프리미엄 OLED 제품 개발에 집중하며, 성능 중심의 고급형 시장 수요에 선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OLED 수요가 글로벌 시장에서 빠르게 증가하는 흐름 속에서 고객 가치를 높이고 경쟁사 대비 기술 격차를 확대할 방침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8년까지 글로벌 OLED 시장은 연평균 5% 성장하며 약 10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같은 기간 LCD 시장은 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가 방탄소년단 RM을 삼성 아트 TV 공식 홍보대사로 선정하고, 세계적 아트페어 '아트 바젤' 참여 등 글로벌 예술 협업을 본격화한다. 17일 삼성전자는 방탄소년단 RM을 삼성 아트 TV의 공식 홍보대사로 발탁했다고 밝혔다. RM은 삼성 아트 스토어에 공개될 ‘RM 작품 코멘트’를 통해 엄선된 예술 작품에 대한 감상과 해설을 전한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작품을 보다 다채롭게 감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RM은 홍보대사 활동의 일환으로 19일부터 22일까지(현지시간) 스위스 메세 바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아트페어 ‘아트 바젤 인 바젤(Art Basel in Basel)’에 참석하며, 18일 특별 토크 세션에도 참여한다. 관련 내용은 삼성전자 뉴스룸에서 비하인드 스토리와 함께 순차 공개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이번 협업이 세계 최고 수준의 예술을 더 많은 이들이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했다. 삼성전자는 라이프스타일 TV ‘더 프레임’에 적용되던 삼성 아트 스토어 서비스를 올해부터 Neo QLED와 QLED 모델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세계 유명 미술관 및 예술가의 작품 3천5백여
롯데이노베이트의 전기차 충전 전문 계열사 EVSIS가 자체 개발한 PLC모뎀 기반 초급속 충전기를 앞세워 글로벌 전기차 충전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북미·일본 등 선진국 수출을 확대하는 한편, KOICA와 손잡고 키르기스스탄 등 신흥국 인프라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나선다. 17일 EVSIS는 최근 자체 개발한 PLC(전력선 통신) 모뎀 기반의 240kW, 400kW급 초급속 충전기를 미국 시장에 수출하고 있으며, 현지 전자파 인증인 FCC 인증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아직 PLC모뎀 기반 충전기가 보편화되지 않은 미국 시장에서 EVSIS의 기술력이 차별화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해당 충전기에는 EVSIS의 독자 기술인 ‘K-VAS 기술’이 적용됐다. K-VAS는 충전기와 차량의 배터리 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며 SOC(충전 상태), SOH(배터리 건강도), 온도, 셀 전압 등 다양한 배터리 정보를 인식하는 스마트 제어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충전 효율성과 안전성 모두를 확보했다. EVSIS는 PLC모뎀 기반 초급속 충전기를 국내에서 개발 및 상용 운영 중이며,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글로벌 표준화에도 힘쓰고 있다. 미국 외에도
SK텔레콤이 해킹 사고와 관련해 고객 통화 세부 기록(CDR)이 유출됐다는 일부 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다. 또 유심 무상 교체가 막바지 단계에 들어간 가운데 오는 20일부터는 고객이 직접 날짜와 시간, 매장을 지정해 유심을 교체할 수 있는 예약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17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열린 사이버 침해 사고 일일 브리핑에서 “CDR이 유출됐다는 의혹은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김희섭 PR센터장은 “자체 조사 결과, CDR은 유출되지 않았으며 암호화도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일부 매체가 “CDR이 저장된 서버에 악성코드가 발견돼 유출 가능성이 있으며, 암호화도 되지 않았다”고 보도한 데 대한 반박이다. 김 센터장은 “민관합동조사단이 별도로 이 부분을 조사하고 있으며, 중대한 문제가 있다면 중간 발표나 최종 발표를 앞당길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달 말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 이심 영업 재개…유심 전면 교체는 막바지 SK텔레콤은 지난 16일부터 이심(eSIM)을 통한 신규 영업을 재개했다. 하루 만에 약 750건의 신규 개통이 이뤄졌다. 유심(USIM)을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이 감염병 극복을 위해 기부한 사재 100억 원이 ‘정몽구 미래의학관’이라는 이름으로 결실을 맺었다. 고려대 메디사이언스파크에 개관한 이 연구시설은 국내 최초 민간 주도 백신개발 플랫폼으로, 미래 감염병 대응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활용된다. 17일 현대자동차그룹은 지난 16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의료원 메디사이언스파크에서 ‘정몽구 미래의학관’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의학관은 정몽구 명예회장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백신 개발을 위해 기부한 사재 100억 원을 바탕으로 조성됐다. 정 명예회장은 당시 “현대차그룹을 성원해주신 국민들께 도움이 되기 위해 기부하게 됐다”며 “감염병을 극복하여 건강과 행복을 되찾는 데 조금이나마 힘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정몽구 미래의학관’은 국내 최초로 민간이 주도하는 전 주기 백신 개발 거점으로, 백신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생물안전센터, 유전자세포치료 연구개발센터, 정밀의학센터 등이 함께 조성됐다. 대규모 생물안전 3등급(BL3) 시설과 IVIS 광학영상시스템, 초고속 세포분석 장비, 로봇 워크스테이션 등 최첨단 장비가 구축돼 있으며, 향후 전임상 연구와 후보물질 평가를 아우르는 백신 개발
현대자동차가 고성능 브랜드 N의 기술력을 증명하는 대표 무대인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에 10년 연속 출전한다. TCR 클래스 5연패 도전과 함께 엘란트라 N1 컵 카가 첫 출전하며 글로벌 팬들에게 현대 N의 내구성과 성능을 선보인다. 17일 현대자동차는 오는 6월 19일부터 22일까지 독일 뉘르부르크 지역에서 열리는 ‘2025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ADAC TotalEnergies 24h Nürburgring)’에 고성능 브랜드 ‘현대 N’ 차량으로 10년 연속 출전한다고 밝혔다. 뉘르부르크링 24시는 길이 25km, 170개 코너, 최대 300m의 고저차로 ‘녹색지옥(The Green Hell)’이라 불리는 혹독한 코스에서 24시간 동안 차량의 내구성과 성능을 시험하는 글로벌 내구레이스다. 현대차는 2016년 첫 참가 이후 매해 완주에 성공해왔으며, 특히 엘란트라 N TCR(국내명 아반떼 N TCR)은 TCR 클래스에서 4년 연속(2021~2024년)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올해는 TCR 클래스에 더해 SP3T 클래스에도 출전하며 참가 범위를 넓혔다. TCR 클래스에는 유럽팀(마뉴엘 라우크, 마크 베셍, 크리스터 조엔스)과 아메리카
KG모빌리티(KGM)가 2030년까지의 친환경 전환 계획을 담은 중장기 로드맵을 발표했다. 하이브리드 및 EREV 기술 개발과 SUV 중심 신차 라인업 강화, 브랜드 체험 공간 확대 및 구독형 서비스 도입 등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17일 KGM은 경기 평택 본사에서 ‘KGM FORWARD’ 행사를 개최하고, 향후 2030년까지의 중장기 전략을 담은 브랜드 로드맵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곽재선 회장, 황기영 대표이사, 노철 노동조합 위원장을 비롯한 임직원과 기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KGM은 이날 행사에서 SUV 중심의 친환경 신차 7종을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하이브리드 및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 기술 개발을 통해 전동화 로드맵을 가속화할 계획을 공개했다. 특히, ‘충전하지 않는 전기차’를 콘셉트로 국내 최초 P1-P3 듀얼모터 시스템 기반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소개했다. 올해 3분기에는 첫 구독형 모빌리티 서비스 ‘KGM MOBILING’을 도입하고, 강남과 일산을 시작으로 전국 10곳 이상에 체험형 브랜드 공간 ‘KGM 익스피리언스 센터’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고 브랜드
LG전자가 수업 영상 요약, 실시간 번역, 손글씨 수식 계산 등 다양한 AI 기능을 탑재한 전자칠판 신제품을 선보인다. 교사와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높이는 스마트 솔루션으로 에듀테크 시장 확대에 나선다. 17일 LG전자는 AI 기능을 탑재한 전자칠판 신제품 ‘TR3DQ’를 다음 달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교사와 학생의 수업 효율을 높이고, 디지털 학습 환경을 강화하기 위한 최신 에듀테크 기기로 개발됐다. 주요 기능으로는 ▲수업 영상 요약 제공 ‘AI 요약(Video Summary)’ ▲실시간 자막 번역 ‘AI 실시간 번역(Live Subtitle/Translation)’ ▲손글씨 수식을 인식해 계산하는 ‘칼큘레이터 프로(Calculator Pro)’ 등이 탑재돼 있다. 여기에 ▲질문 응답용 AI 챗봇 ‘Ask LG’ ▲주제 도출형 ‘AI 마인드맵’ ▲화면 속 요소 탐색 ‘서클 투 서치’ 등 대형언어모델(LLM)을 활용한 기능도 포함된다. LG 전자칠판은 수업 환경 전반의 디지털화를 고려한 무선 연결 및 필기 솔루션도 함께 제공한다. ‘LG 크리에이트보드 쉐어’를 통해 윈도우, iOS, 안드로이드 등 다양한 기기와 무선으로 연동 가능하며, 최대 9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