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고 4월 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면서 연금 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는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이루어진 연금개혁이자, 1998년 이후 27년 만에 보험료율이 인상된 개혁이기도 하다. 이번 개혁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로 모수 개혁을 통해 보험료율이 현재 9%에서 13%로 인상되며, 2026년부터 매년 0.5%p씩 8년간 단계적으로 조정된다. 소득대체율은 2026년부터 43%로 상향 조정되며,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 둘째로, 출산과 군복무 크레딧 지원이 확대된다. 출산 크레딧은 첫째 아이도 가입 기간 12개월을 인정받게 된다. 기존 50개월로 제한되던 상한도 폐지되었다. 군 복무 크레딧의 인정 기간 역시 기존 6개월에서 최대 12개월로 확대되었다. 셋째로, 지역가입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이 확대되었다. 기존에는 보험료 납부를 재개한 지역가입자가 최대 12개월 지원받을 수 있었지만, 개혁으로 일정 소득수준 미만의 지역가입자도 대상으로 확대되었다. 넷째로, 연금 급여 지급에 대한 국가의 보장 의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지급보장이 법률로 명문화되었다. 이번 개혁으로, 국민이 가장 궁금해할 사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공기관은 매년 국민권익위원회 주관으로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종합청렴도 평가를 받는다. 국민연금공단은 2017년부터 7년 연속 청렴 우수기관으로 선정되어 청렴한 문화를 선도하는 대표기관으로서 국민권익과 신뢰 제고에 앞장서고 있다. 1988년 국민연금 제도 시행 이래 국민연금은 현재 2205만여 명의 가입자와 680만 명에게 매월 약 3조 6396억 원의 연금을 지급하고 있다. 또한 1147조 원의 국민연금 기금을 운용하고 있으며,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성실하게 보험료를 납부한 결과로 국민연금 기금의 규모와 국민연금을 받는 연금 수급자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국민연금은 국민이 장기간 연금보험료를 납부하고 노후에 안정된 생활을 위해 연금을 받는 제도이기 때문에 국민의 신뢰는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이다. 국민에게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필요한 요소들이 있겠지만 국민의 소중한 자산인 연금을 투명하게 운용하고, 믿을 수 있는 제도를 실행하는 청렴한 기관으로서의 인식을 받는 것이 가장 기본이 될 것이다. 최근 정부의 국민연금 개혁안 발표로 국민의 걱정이 우려되는 요즘, 우
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보험료를 냈다가 소득이 중단된 노후에는 연금을 받아 노후 생활의 안정을 도모하는 제도이다. 노후를 대비하는 안정망으로서 국가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국민연금의 중요성과 무게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현재 약 644만 명이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등을 받고 있다. 이는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성실하게 보험료를 납부한 결과로, 연금을 받는 사람의 숫자는 앞으로도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 국민연금은 오랜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하고 노후에 연금이라는 혜택을 받는 제도이기 때문에 국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민연금제도와 이를 운영하는 국민연금공단에 대한 신뢰가 전제되어야 한다. 신뢰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필요한 요소들이 있겠지만 무엇보다 연금을 운영하는 국민연금공단이 매우 청렴하다는 인식을 받는 것이 기본적이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공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모든 분야에 청렴의 덕목이 강조되는 것은 당연하다. 역사적으로도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청렴성을 중요시하여 모범관료에게 청백리라는 명칭을 수여하였고, 이 전통은 지금까지 청백리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이러한 청렴의 정신은 장기간 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