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5일 문화의 날을 맞아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이 경기도민을 기다린다. 경기도는 2019년부터 정부의 ‘문화가 있는 날’과 연계하여, 도민의 평등한 문화 환경 조성과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을 ‘경기도 문화의 날’로, 마지막 주를 ‘경기도 문화주간’으로 지정·운영하고 있다. 이번 달 문화의 날은 25일, 문화주간은 23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된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에서는 인터랙티브 미디어, 실감 영상, AR기술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DMZ의 자연 환경, 역사적 의미를 알아볼 수 있는 '두 개의 DMZ' 전시가 진행 중이다. 박물관 인스타그램에서는 전시 체험 인증샷 이벤트를 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연이끼 스칸디아모스와 옹기흙으로 화분을 만들어보는 <말랑말랑 흙과 알록달록 이끼가 만났어요>와 <흙 장난감 만들기> 등 자연예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는 백남준 90주년 특별전 '아방가르드는 당당하다'와 '완벽한 최후의 1초-교향곡 2번', '함께 만드는 음악의 전시'가 진행 중이다. 25일 오후 4시부터 진행되는 '증강현실로 만나는 백남준' 프로그램으로 백남준의 전시와 대표
첩보물 '헌트' 칸영화제서 공개…"분쟁하게 만드는 시스템 비판" 정우성과 23년 만에 호흡…"우성씨 제일 멋있게 나와야 한다는 사명감" 이정재에게 2022년은 제3의 전성기를 맞은 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오징어 게임'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은 그는 지난 2월 미국배우조합상을 필두로 각종 연기상을 거머쥔 데 이어 제75회 칸국제영화제에서 감독 데뷔작 '헌트'를 선보이며 정점을 찍었다. 이정재가 배우 인생 30년 만에 처음으로 각본을 쓰고 연출한 이 영화는 장르 영화를 자정에 상영하는 칸영화제 섹션 '미드나이트 스크리닝'에서 처음 공개됐다. 21일(현지시간) 칸에서 기자들과 만난 이정재는 "칸영화제에서 '헌트' 첫 상영을 하는 게 작은 꿈이었는데 이루게 돼 기쁘고 너무나 감사하다"며 벅찬 소감을 밝혔다. '헌트'는 1980년대 안기부 에이스 요원 박평호와 김정도가 남파 간첩 총책임자를 쫓으며 거대한 진실과 마주하게 되는 첩보 액션 드라마다. 이정재는 박평호 역을 맡아 배우도 겸했다. 그는 당초 배우로만 이 작품에 참여할 예정이었지만, 물망에 올랐던 정지우·한재림 감독이 잇달아 하차하면서 메가폰도 잡게 됐다. '헌트'가 "꼭 쓰고 싶었던 이야기"였던 덕
발달장애인 소프라노 박혜연이 미국 뉴욕 카네기홀 무대에 오른다. 20일 한국발달장애인문화예술협회 아트위캔에 따르면 박혜연은 오는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카네기홀 와일리사이틀홀에서 열리는 '컬러풀 코리아' 갈라 콘서트에 출연한다. 공연기획사 CMS비엔나가 주관하는 이번 갈라 콘서트는 제임스 정과 이국표 지휘자가 이끄는 공연으로 한국계 연주자와 성악가들이 다수 참여한다. 자폐성 장애를 가진 박혜연은 나사렛대 성악과와 서울장신대 교회음악대학원을 졸업하고 국내외 무대에 여러 차례 서 왔다. 2017년부터는 한국발달장애인문화예술협회 '아트위캔' 소속 소프라노로 활동하고 있으며, 올해 2월에는 온라인으로 열린 '뮤직 인 더 월드 로마' 콩쿠르에서 비장애인들과 겨뤄 성악 부문 3위에 입상했다. 아트위캔 왕소영 대표는 "발달장애인 특성상 몸으로 소리를 내는 성악은 다른 음악보다 더 어렵고, 가사를 외우고 목소리로 감정을 표현하는 게 특히 어렵다"면서 "박혜연은 타고난 재능이 남다르고 노래에 대한 열정도 대단하다"고 전했다. 박혜연은 카네기홀 무대에 이어 루마니아에서도 공연할 예정이다.
관람객이 유물을 살펴볼 수 있는 개방형 수장고 시설인 국립민속박물관 파주가 개관 이후 첫 기획전을 연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파주관 열린 수장고인 16수장고에서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민속×공예: 소소하게 반반하게' 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오는 29일까지 펼쳐지는 '공예주간' 행사와 맞물려 개막한 전시에는 소장품 200여 점과 현대 작가 13명이 제작한 작품 49점을 선보인다. 전시된 민속 유물은 옛 소반과 반닫이다. 작가들은 소반과 반닫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을 내놓았다. 정구호는 나무 대신 플라스틱을 활용한 '파초무늬 평양반닫이'를 만들었고, 정용진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반을 공개했다. 이외에도 재질과 색감, 디자인이 독특한 다양한 소반과 반닫이를 감상할 수 있다. 지난해 7월 정식으로 문을 연 국립민속박물관 파주는 포화 상태에 이른 서울 본관 수장고 자료를 보관하기 위해 설립됐다. 수장고뿐만 아니라 민속 아카이브 정보센터, 어린이 체험실, 영상실 등이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관계자는 "전시를 통해 전통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우리 공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걸그룹 르세라핌이 멤버 김가람의 학교폭력 가해 논란으로 예정된 일정을 취소하는 등 데뷔 18일 만에 위기를 맞았다. 소속사 쏘스뮤직은 20일 팬 커뮤니티 위버스를 통해 "르세라핌은 오늘(20일) 예정된 KBS 2TV '뮤직뱅크'와 영상통화 팬 사인회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공지했다. 그러면서 "기다려주신 팬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영상통화 팬 사인회는 별도의 일정을 마련해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쏘스뮤직은 지금까지 김가람의 학교폭력 가해 의혹에 대해 '악의적 음해'라며 부인해왔지만, 전날 피해자 A씨가 법무법인을 통해 정식으로 가해는 사실이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히면서 궁지에 몰렸다. 쏘스뮤직은 "르세라핌 멤버 의혹 제기에 대한 당사의 입장은 검토가 완료되는 대로 빠른 시간 내에 밝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부천문화재단(대표이사 김정환)은 부천펄벅기념관과 오는 24일부터 6월 26일까지 ‘펄 벅 탄생 130주년 그림그리기 공모전’을 개최한다. 미국 소설가 펄 벅(Pearl S. Buck) 탄생 130주년을 기념해 진행되는 이번 공모는 ▲펄 벅 탄생 130주년 기념 ▲펄 벅의 사회공헌과 인권존중, 문화다양성 ▲펄 벅의 문학 작품 ▲펄벅기념관과 전시 유물 등을 주제로 한다. 지원은 6~13세 대상 ‘그림그리기’, 청소년·성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콘텐츠’ 등 2개 부문이다. 시상 규모는 총 29명으로 그림그리기 부문 25명, 디지털콘텐츠 부문 4명이다. 재단은 7월 초 수상작을 발표하고 상장과 상금, 수상작품집 등을 수상자에게 개별 전달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부천시박물관 홈페이지 또는 부천펄벅기념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펄 벅은 1967년 부천시에 ‘소사희망원’을 설립해 전쟁고아와 다문화 아동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을 펼쳤다. 부천시는 2006년 펄 벅의 이러한 정신을 계승하고자 소사희망원 자리에 부천펄벅기념관을 설립했다. [ 경기신문 = 정경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