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손예진이 2월 25일(화) 오후,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서울 미술관에서 열린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가 후원한 프랑스 현대미술 작가 피에르 위그의 국내 첫 개인전 기념 포토콜 행사에 참석해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한편, 보테가 베네타는 시각예술, 건축, 디자인, 무용, 출판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장기적인 문화 후원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오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핵심 가치와 창립 신조를 바탕으로, 우수한 장인 정신, 공동체 정신, 그리고 혁신적인 수공예에 관한 접근을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배우 주지훈이 2월 25일(화) 오후,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서울 미술관에서 열린 보테가 베네타(BOTTEGA VENETA)가 프랑스 현대미술 작가 피에르 위그의 국내 첫 개인전을 후원 기념 포토콜을 행사가 진행돼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한편, 보테가 베네타는 시각예술, 건축, 디자인, 무용, 출판 등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통해 장기적인 문화 후원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오고 있습니다. 브랜드의 핵심 가치와 창립 신조를 바탕으로, 우수한 장인 정신, 공동체 정신, 그리고 혁신적인 수공예에 관한 접근을 공유하는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본 영상은 경기신문 제휴사 뉴스인스타에서 제공한 기사입니다.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는 리움미술관과 협력해 기후 위기 속 생태를 돌아보고 대안적 미래를 제안하는 ‘에어로센 백팩 워크숍’을 9월 7일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리움미술관에서 운영하는 ‘에어로센 서울’의 일환으로, 7월 10일부터 9월 21일까지 서울, 경기, 수원, 광주, 대구, 부산, 제주 등 한국의 지역 미술관과 리움미술관이 협력한다. ‘에어로센 서울’은 독일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아르헨티나 출신 토마스 사라세노(b.1973)가 시작한 것으로, 오늘날 환경과 기후 문제를 고민하는 프로그램들로 구성됐다. 이 프로젝트는 학제 간 커뮤니티 ‘에어로센(Aerocene)’과 함께 한다. 학제 간 커뮤니티 ‘에어로센’은 기후 환경에 대한 공동의 정의를 구현하기 위해 전 세계의 다양한 예술가, 지리학자, 철학자, 과학자, 기술자 등이 모인 커뮤니티다. 현재 36개국, 152개 도시, 6개 대륙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토마스 사라세노가 만든 ‘에어로센 백팩’ 휴대용 키트를 참여자가 직접 제작하고 띄워볼 수 있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에어로센 백팩은 헬륨, 수소, 태양광 패널,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오직 태양열만 사용하는 에어로솔라 조형물의 휴대용 비행
수원시립미술관은 리움미술관과 함께 현대미술가 토마스 사라세노의 ‘에어로센 서울’ 프로젝트 가운데 ‘에어로센 백팩 워크숍’을 8월 23일 오전 10시 수원시립미술관과 수원행궁광장 일대에서 개최한다. 이 워크숍은 리움미술관의 주최·주관으로 이루어지는 ‘아이디어 뮤지엄’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동시대에 주요한 ‘환경 문제’를 예술적 의제로 공유하기 위해 수원시립미술관을 포함 대구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부산현대미술관, 경기도미술관 등 국내 10여 곳의 미술관에서 펼쳐진다. 아르헨티나 출신의 토마스 사라세노(Tomás Saraceno, 1973~)는 조각, 설치, 커뮤니티 아트 등 다양한 예술적 실천을 통해 자연과 인간이 공생하는 미래를 상상하는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에어로센 백팩(Aerocene Backpack)’은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휴대용 비행 조형물로, 헬륨이나 수소를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공기와 태양열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비행 조형물이라는 점에서 화석 연료가 없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상징적 작품이다. 이번 워크숍에서 참가자들은 에어로센 백팩의 비행을 책임지는 파일럿이 돼 비행 조형물을 띄우고,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생태 사회의 정의와 돌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는 5월 온라인 학술연구서 NJP 리더 13 ‘백남준의 트랜스미션: 두 세기에 걸친 여정’을 출간했다. NJP 리더는 연례 국제학술심포지엄 ‘백남준의 선물’과 연계해 백남준아트센터가 출간하는 학술 연구서다. 백남준아트센터가 2023년 11월에 리움미술관과 공동 개최했던 동명의 학술심포지엄의 발표 내용을 정리하여 온라인으로 출간했다. 열세 번째 NJP 리더는 미술관에 소장된 야외 미디어 설치 작품의 수집, 전시, 보존, 기록과 관련한 전문가들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백남준의 대표 야외 설치 작품 두 점을 중심으로,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자동차와 레이저의 설치 가변성과 미술관 수집과 보존에서 고려해야 하는 지점들에 대해 작가, 백남준아트센터와 리움미술관의 큐레이터와 테크니션, 보존전문가의 경험 사례를 엮었다. 책은 모두 3부로 나뉜다. 1부는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 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라’의 제작과 수집과 보존에 대한 기록과 견해를 다룬다. 2부는 ‘트랜스미션 타워’의 구성과 전시, 그리고 백남준의 레이저 작업에 대한 글들로 구성된다. 3부는 ‘미술관에서 작품이 살아남는 법’이라는 주제로 동시대 예술작품의 미
경기문화재단 백남준아트센터는 삼성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리움미술관과 24일 백남준의 선물 15 '백남준의 트랜스미션: 두 세기에 걸친 여정'을 백남준아트센터에서 공동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백남준아트센터에서 현재 진행 중인 특별 전시 ‘트랜스미션: 너에게 닿기를’과 연계한 것으로, 미술관에 소장된 야외 미디어 설치 작품의 수집과 전시, 기록과 보존에 대해 관련분야 전문가 10인이 이론적·실재적 논의를 진행한다. 백남준아트센터에서 전시 중인 백남준의 대표작 ‘트랜스미션 타워’(2002)와 ‘20세기를 위한 32대의 자동차: 모차르트의 진혼곡을 조용히 연주하라’(1997)의 제작과 설치 과정에서 백남준과 협업했던 전문가 노먼 발라드와 마크 패츠폴의 경험을 직접 들을 수 있다. 특히 심포지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획된 ‘트랜스미션: 너에게 닿기를’ 전시 투어는 심포지엄에서 논의되고 있는 두 작품의 실제 설치를 직관적으로 감각하고, 전시를 위해 발굴한 백남준의 아카이브 푸티지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술관의 관점에서 미디어 설치 작품의 가변성과 원형성을 주목하는 이번 심포지엄은 작품 단위의 기계적 속성에 주목했던 기존의 미디어 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