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가에 어둠이 새겨질 때/김미양 지음/두두/176쪽/1만3800원 “서른을 넘긴 어느 날, 거울을 보다 문득 입가의 주름을 발견했습니다.” 이 책을 쓴 김미양은 어느 날 입가의 주름을 보고 나이 들어감을 실감하면서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어딘가 익숙했다고 말한다. 팔(八)자 모양으로 자리 잡은 주름과 골을 따라 드리워진 그늘이 마치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하관과 꼭 닮아있었다고 말이다. 제주도에서 태어난 저자는 어린 시절 이야기와 타지에서 자취하던 때의 일화, 식구들과 관련된 추억들을 ‘입가에 어둠이 새겨질 때’에 담았다. 제주도 사람 아니랄까 봐 이유식 대신 말캉하고 쫄깃한 돼지고기 비계를 좋아했다는 그는 울다가도 사탕이나 과자가 아닌 삶은 고기 비계 한 토막에 울음을 그쳤다고 회상했다. 제주 사람들은 돼지고기에 각별한 애정을 갖고 있는 터라 잔칫집에서는 돼지고기를 삶아 수육을 내고 남은 뼈와 각종 부위로 손님들에게 몸국을 대접했다고 한다. ‘돗궤기 석 점 언제 먹게 해 줄 거냐’는 물음이 ‘국수 언제 먹게 해 줄 거야?’처럼 결혼을 재촉하는 말로 쓰인다고 하니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것도 같다. 저녁밥을 먹고 나서 할아버지 앞에서 언덕처럼 솟아오른
◆내 얼굴에 아버지가 있다/우동준 지음/호밀밭/192쪽/1만2800원 ‘1990년생 청년이 만난 우리 시대 아버지들의 이야기’ 책 소개에 앞서 아버지라고 하면 가장 먼저 무엇이 떠오르는지 묻고 싶다. 어릴 적 아버지가 태워주던 목마, 퇴근길에 사 오신 통닭, 무심한 듯해도 힘내라며 따뜻한 응원을 해주시는 모습, 이밖에도 다양한 모습 등 저마다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자녀를 둔 남자를 부르는 말인 아버지, 사회는 이 이름에 많은 무게감을 부여한다. 90년생 저자는 사회가 만든 아버지상을 해체하기 위해 세상의 수많은 아버지를 만나게 됐다고 밝혔다. 어린 시절, 백 밤만 자면 오겠다는 아버지와 멀어진 후 시간이 지날수록 빈자리가 익숙해지며 존재마저 희미해졌다고 고백한 저자 우동준. 그는 어느 날 거울 앞에 마주한 자신의 모습에서 익숙한 주름, 익숙한 표정을 통해 아버지를 발견했다고 한다. “인터뷰 작업은 아버지와 닮은 내 모습을 발견하며 시작했고, 내 안에 담긴 아버지에 대한 감정을 조금씩 내려놓기 위해서 이어왔다.” 이 책에 나오는 아버지 인터뷰 프로젝트의 이름은 ‘돼지국밥’. 닮은 맛이지만 저마다의 개성을 지닌 돼지국밥은 저자가 아버지와 함께 먹었던 마지막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