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관절전문병원 이춘택병원(병원장 윤성환)이 대학병원 출신, 척추분야 정형외과 전문의를 새로 영입했다. 2일부터 진료를 시작한 척추관절센터 김지현 신임 과장은 척추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 골절, 신경성형술, 미세침습 등의 분야를 책임지게 된다. 김 신임 과장은 중앙대학교를 졸업, 조선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를 수료했으며 광명성애병원에서 수련의, 전공의를 거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전임강사를 연임했다. 또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척추외과학회, 세브란스 척추연구회 등에서 정회원으로 활동 중이며, 대한척추외과학회 전임의 척추술기 워크숍, 대한정형통증의학회 TPI(근막동통 유발점 주사자극 치료) 교육 등을 이수했다. 다수의 논문 발표를 통해 정형외과 및 척추외과 분야 학술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기도 하다. 김지현 과장은 “어떤 상황에서도 환자 만족도가 최우선이라는 원칙 아래 환자의 아픔에 공감하며 진정성 있는 의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말 경기 지역에서 유일하게 4회 연속 관절전문병원으로 지정된 이춘택병원은 로봇 인공관절수술 및 골절센터를 비롯해 척추관절센터, 스포츠외상 및 관절내시경센터, 내과중점센터로 구성된 4
오는 28일까지 사흘간 전공의 대부분이 참여한 2차 총파업에 나선 26일 파업에 동참해 문이 닫힌 일부 개인병원 앞에서는 당장 치료와 약 처방이 시급한 노인들이 위험에 노출되고 있었다. 이날 오전 9시쯤 수원시 영통구에 있는 한 의원 입구에는 ‘26~28일까지 휴진합니다’라는 문구가 붙은 채로 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 이곳을 방문한 A(74·화성)씨는 “집 근처에 병원이 없어 자전거를 타고 20분이나 달려왔다”며 “어제부터 계속 설사해 기운이 하나도 없어 일일이 병원을 찾아다닐 수 없는데 어떡하면 좋냐”고 허탈해했다. 그는 이어 “한 곳만 더 가보고 안 열었으면 그냥 집에 가는 수밖에 없다”며 발길을 돌렸다. 비슷한 시각 같은 의원을 방문한 B(72·용인)씨는 “아이고 30분이나 걸어왔는데, 문 닫았네”라며 탄식했다. 그는 닫힌 병원문을 멍하니 쳐다보며 “아침에 뉴스를 보고 의사들이 파업한다는 건 알았지만, 작은 병원들은 괜찮을 줄 알고 왔다”면서 “혈압약과 당뇨약, 고지혈증약이 다 떨어졌는데 큰일났다”고 난감해했다. 할 수 없이 발길을 돌려야만 했던 시민들은 의사 파업에 대해 난색을 표하기도 했다. A씨는 “시민 입장에서는 안타깝다”며 “우리가 다 피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