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2차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에서 2회 연속 최우수 1등급을 획득했다. 평가는 의원급 이상 의료기관 430곳의 2021년 10월~2022년 3월 입원·진료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주요 평가지표는 총 10개로 ▲입·퇴원 시 기능평가 시행률 ▲입원 중 정신증상 또는 이상반응 평가 시행률 ▲정신요법·개인 정신치료 실시 횟수 ▲재원·퇴원 환자 입원 일수 ▲퇴원 후 30일 이내 재입원율·외래 또는 낮 병동 방문율 ▲퇴원시 환자경험도 조사 실시율 등이다. 평과 결과, 성빈센트병원은 종합점수 89.0점을 획득했다. 성빈센트 병원이 받는 점수는 종합 점수 병원 전체 평균 63.2점 및 종합병원 평균 77.8점을 웃도는 성적이다. 특히, 성빈센트병원은 10개 평가지표 중 8개 항목에서 만점을 받는 등 정신건강 진표 서비스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성빈센트병원은 앞서 심평원에서 발표한 관상동맥우회술, 만성폐쇄성폐질환 적정성 평가에서도 모두 1등급을 획득하는 등 수준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경기신문 = 고륜형 기자 ]
아동·청소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를 1년 이상 장기간 약물치료를 하면 우울증과 품행장애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윤미 교수팀(의료정보학교실 이동윤 전문의, 박지명 연구원)은 전 국민 ADHD 코호트 33만 명 중 3508명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년 동안 약물 사용기간과 안전성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ADHD는 아동·청소년에서 주로 나타난다. 주의력이 떨어지고, 과잉 행동을 하며 충동 조절이 어려워진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성인까지 지속되기 때문에, 발견 시 대부분 약물사용을 필수적으로 권고한다. 약물치료를 시작하면 ⅓ 이상의 환자가 2년 이상 복용하지만, 그동안 약물 사용기간에 따른 우울·품행장애·정신증 위험성을 평가한 연구가 부족했다. 이에 연구팀은 ADHD 1차 치료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메틸페니데이트 약물을 1년 이하 단기 사용군와 1년 이상 장기 사용군으로 나눠, 약물 사용기간에 따른 ▲우울증 ▲품행장애 ▲정신증 발병률을 확인했다. 그 결과 약물 장기 사용군이 단기 사용군에 비해 우울증 발생 위험이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폭력·공격적
수원시청소년재단(이사장 홍사준)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오는 8월까지 청소년 코로나 블루에 대응하기 위해 무료 온라인 심리검사를 실시한다. ‘코로나 블루(Corona Blue)’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우울감, 불안,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신조어이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심리적 불편감을 호소하는 청소년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했다. 청소년 무료 온라인 심리검사는 신청부터 전문가 해석까지 비대면으로 진행되므로 청소년이 보다 편리하게 심리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청소년은 정신건강,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진로 세 가지 검사 중 한 가지를 선택해 온라인으로 실시할 수 있고, 이후 상담전문가가 전화나 화상을 통해 비대면으로 해석상담을 진행한다. 신청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해당되며, 검사비용은 무료이다. 신청방법은 전화(031-212-1318) 또는 QR코드를 활용한 온라인으로 하면 된다. 수원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는 “청소년이 코로나19라는 새로운 상황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심리적 일상복귀를 돕겠다”고 말했다. [ 경기신문 = 신연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