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생존전략 차원에서 추진 중인 인천경제자유구역 조성사업에서 인천시 공무원들의 비리가 잇따라 적발 돼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시가 부실한 감사로 부정부패를 방치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0일 열린 인천시의회 제157회 1차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김성숙 시의원은 “연간 6천억원을 집행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대한 인천시의 솜방망이만도 못한 자체감사는 면죄부에 불과했으며 결국 송도국제도시를 뇌물로 얼룩지게 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현재 시민들의 정서는 십 수년간 시민 세금으로 다져 온 송도가 공무원과 업자의 손에 놀아날 수는 없으며 최대 규모의 특구청이 방대한 사업을 주먹구구식으로 하고 있어 신뢰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같은 시민 우려에도 불구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중복감사가 많다며 인천시에 감사기일을 줄여 달라고 건의했고 시는 지난해 감사기간을 10일에서 5일로 단축하는 등 ‘제식구 감싸기’식 자체감사를 벌였다”고 덧붙였다.
인천시는 인천경제청에 대해 지난해 11월 27일부터 5일간 감사를 벌여 주의 16건, 시정 3건, 개선 1건 등 20건의 사항을 적발했으며 신분상 조치로는 훈계 2건, 재정상 조치는 업무추진비 부당집행 85만원 등 110만7천원을 회수 또는 추징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솜방망이 감사결과 시민들이 접한 것은 건설사에서 뇌물장부를 만들어 공무원에게 승용차와 현금을 건냈다는 경악할 언론 보도였다”면서 “공직자 부정부패와 도덕적 불감증에 대한 특단의 대책 없이 ‘명품도시 인천’은 사상누각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강석봉 시의원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본부장 혼자 이리 저리 기업들을 만나고 다니며 줄만한 인센티브도 제대로 없는 상황에서 그저 그림 몇장만 보여주며 처분만 바란다는 식으로 원시적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인천경제자유구역 투자유치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구조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에 대해 안상수 시장은 “앞으로 비리가 발생할 때 해당 공무원은 물론 간부공무원까지 연대책임을 강하게 묻고 인사에 반영할 것”이라며 “특히 공직기강이 해이해지기 쉬운 휴가 기간과 추석, 대선을 앞두고 특별감찰반을 운영해 적발되면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엄중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