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에 이르면 내년초 시내버스 준공영제가 도입된다.
인천시는 대중교통 서비스향상을 위해 추진 중인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운영 방식을 변경해 이르면 내년 초 도입할 계획이라고 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시는 당초 버스 업체들의 모든 수입금을 공동관리해 흑자노선에는 일정 마진을 인정하고 적자노선에 대해선 재정지원을 하는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를 구상했다.
그러나 앞서 이 제도를 운영 중인 서울 등 다른 대도시에서 지자체의 재정부담이 가중되고 수입금공동관리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어 추진 방식을 변경했다.
수입금공동관리제를 시행할 경우 매년 330억원 가량의 시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 돼 현재 무료환승제와 유류비 보조 등을 위해 연간 300억원 정도의 국·시비를 투입하는 상황에서 추가 재원 마련이 어렵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는 이에 따라 전체 106개 노선 가운데 운행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지선버스(옛 마을버스)를 제외한 62개 간선버스와 13개 좌석버스 노선에 대해 오는 8월까지 전문기관 용역을 통해 개편 작업을 벌일 예정이다.
시는 노선이 지나치게 길거나 구불구불한 장거리·굴곡노선을 최대한 직선화하고 단축시켜 기존 버스 업체에 우선 선택권을 부여한 뒤 남은 노선에 대해서는 입찰을 실시할 방침이다.
적자가 예상 돼 민간사업자가 나서지 않는 유찰 노선은 인천교통공사에 직접 운영을 맡기고 시가 교통공사에 적자분을 보전해 주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