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민노 인천시당 강화조력발전소 백지화 촉구

“강화~교동간 댐 건설 생태계 파괴 우려”

민주노동당 인천시당(위원장 이용규·이하 민노당)은 9일 인천시가 추진중인 강화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의 백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민노당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시가 추진하는 강화조력발전소는 친환경 재생에너지가 아니다”며 “재생에너지 효과보다 해양생태계 파괴가 더 심각한 조력발전소 건설계획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민노당은 또 “강화조력발전소 건설은 교동도와 강화본도를 연결하는 댐 건설로 인해 대규모 기후재난과 환경피해가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강하구로 유입되는 강물 유입 수로 중 가장 유량이 많은 석모도 수로를 막아 강화조력발전소를 건설할 경우 심각한 하하구역의 범람과 홍수로 인해 피할 수 없는 재앙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민노당은 “시가 지난해 발표한 ‘강화조력발전소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강화~교동간 수로 바로 북쪽 지점이 약 400㎝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며 “발전소 건설은 환경적 재앙과 저어새 생태 보전을 위해 국제적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갯벌의 파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민노당 인천시당 배진교 대변인은 “조력발전의 목적은 친환경에너지 개발”이라고 전제한 뒤 “친환경에너지 개발을 위해 천혜의 자원인 해양과 생태계의 보고인 갯벌을 파괴한다면 친환경에너지라고 말할 수 있느냐”며 조력발전소 건립계획의 재검토 또는 전면 백지화를 촉구했다.

한편 시는 이날 오는 2015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강화조력발전소 건립사업을 위한 특수목적법인(SPC)을 8월 중 설립키로 했다고 밝혔다.

강화조력발전소는 발전용량 812㎿급으로 조력발전소 가운데 세계 최대 규모이며 총 사업비는 2조1천371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조력발전소는 강화도, 교동도, 석모도, 서검도 등 4개 섬을 총 연장 7천795m의 조력댐 방조제로 연결해 25.4㎿ 수차발전기 32기를 설치하게 된다.

시는 현재 타당성 조사와 사전환경성 검토, 환경영향평가를 진행 중이며 내년 상반기에 사업추진을 위한 본 법인을 설립한 뒤 하반기에 공사를 시작할 방침이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