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의회에 이어 하남시의회에서 성남권 통합에 대해 찬성 의결함에 따라 다음달(20~22일 임시회 기간중) 의결을 앞둔 성남시의회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히 성남지역은 여야간 찬반의사가 뚜렷한 상황이지만 통합 반대 여론이 높은 분당구 지역의 여당 의원들의 반대표 행사 여부에 따라 향배가 갈릴 것으로 보여 향후 한나라당 내부 움직임에 뜨거운 시선이 모아지고 있다.
27일 시, 의회, 시민 등에 따르면 마산권 통합이 사실상 결정된 가운데 열린 광주시의회, 하남시의회에서의 통합 안건이 통과됨에 따라 통합의 열쇠를 쥐고 있는 성남시의회의 의결에 관심이 집중돼 있다. 그러나 야권(민주당·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이 주민투표 방식을 주장하며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통과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한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행정안전부가 공동주택 리모델링 요건 완화 등 당근책을 제시하는 등 통합욕구를 강하게 내비쳐 통합시 건이 연말 시정을 달구는 가운데 이 당근책이 시민 여론에 어떻게 작용할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시민 여론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찬반 정도가 백중세를 보이는 가운데 표결당시 시민 향배가 표결에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성남시의회 의결을 놓고 총 의원 35명 가운데 한나라당이 20명, 민주당·민주노동당 등 야권이 15명으로 구성돼 의결시 수적으로는 한나라당이 우세한 것으로 비쳐지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통합에 미온적인 분당신도시의 한나라당 시의원이 11명(55%)을 차지하고 이중 3명만 이탈하면 뒤바뀔 수 있는 상황으로 지역정가에서는 여전히 표결을 해봐야 결과를 알 수 있다는 반응이다.
또 의회 의결 진행의 중심 인물들이 최근까지 주민투표로 가겠다고 약속한 점도 여전히 시의회 표결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민단체에서 통합찬성의결 의원 낙선운동에 나서기로 한 점도 의원 당사자에게는 부담이 되고 있다.
이런 분위기속에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21일 공식문서를 통해 통합될 경우, 중앙정부 차원의 발전 지원책 6개를 제시했다. 공동주택 리모델링요건완화, 도시재정비 촉진계획 결정권 등 개발권 확대, 50층 미만 건축물 허가권, 고도제한 완화, 부시장 1인 증원, 자치경찰제 도입 등이다.
시의회 한나라당 관계자는 통합시 표결방식에 대해 “당론을 중시해 이뤄질 가능성이 짙다”고 말해 표 이탈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또 이 관계자는 “조만간 의총을 열어 임시회 일정, 표결방식 등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눌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