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5.0℃
  • 구름많음강릉 28.3℃
  • 박무서울 24.5℃
  • 구름조금대전 26.5℃
  • 구름많음대구 28.1℃
  • 맑음울산 29.5℃
  • 박무광주 26.7℃
  • 구름조금부산 26.5℃
  • 구름조금고창 27.4℃
  • 맑음제주 28.5℃
  • 구름많음강화 23.5℃
  • 구름많음보은 25.3℃
  • 맑음금산 26.6℃
  • 맑음강진군 27.3℃
  • 맑음경주시 28.9℃
  • 맑음거제 26.2℃
기상청 제공

무료 디지털 콘텐츠의 문제점·대안은?

최근 스마트폰, e-book 등 모바일 기기의 확산으로 언제 어디서나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관련 업체들은 판매확대를 위해 약정무료지급 등의 방법으로 시장 확산을 공략하고 있지만 소비량의 증가가 시장 확산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이같은 현상의 악순환이 계속되면서 업체들은 무료지급을 내세우며 약정기간 설정, 요금제 의무사용, 해약 시 위약금 환급 등의 부수적인 이익을 창출하게 되고, 시행 초기 막대한 시장 확산에 투자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광고모델에 의존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공짜 늪에 빠진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확산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좀 더 구체적으로 짚어보고,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로 인한 콘텐츠 질 향상과 이상적인 시장 확대 방안은 무엇인지 짚어본다.

▲디지털 시장 실태

디지털 콘텐츠의 무료지급이 팽배해지면서 특수 혹은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핸드폰, PC시장은 부수적인 이윤창출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특히 핸드폰 판매점이나 대리점의 경우 핸드폰 판매수익과 요금사용으로 인한 이윤창출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혜택의 요금제 의무사용으로 인한 추가 이윤,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으로 인한 이윤, 약정파기로 인한 위약금 등으로 이윤창출의 범위를 넓히고 있다.

핸드폰 업계 한 관계자는 “다양한 기능을 갖춘 핸드폰이 무수히 나오고 시장이 점차 확대돼 이로 인해 잘 판매되는 핸드폰, 비교적 덜 판매되는 기기에 따라 판매방식과 이윤창출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며 “이로 인해 시장경쟁이 심화되고 무료지급도 팽배해진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에는 경쟁방식이 심화되면서 무료지급을 내세우고, 그에 따라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부가서비스의 폭도 넓힐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며 “결국 이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소비자들은 의무약정에 대한 기준만 지키면 무료지급의 혜택을 받게 되겠지만, 디지털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시장규모 확대에는 걸림돌이 돼 결국 소비자가 피해를 보게 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상황은 핸드폰 업계뿐만 아니라 PC업계도 마찬가지다.

S컴퓨터 한 관계자는 “요즘은 컴퓨터 시장에서 PC에만 의존하지 않고 슬림화, 간편화된 기기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며 “이같은 기기들이 핸드폰과 기능이 겹쳐지는 경우도 있어 시장 규모가 당장 확대되고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업계에서 가격경쟁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고 말했다.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의 필요성

우리나라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81%, 개인 인터넷 이용률은 77%로 디지털 콘텐츠는 대부분의 소비자에게 익숙한 일상이 돼버렸다.

특히 최근에는 아이폰, 안드로이드폰과 같은 스마트폰, 아이패드, e-book 등 다양한 유형의 모바일기기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급속도로 허물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같이 빠른 디지털 콘텐츠 소비량의 증가와는 달리 시장규모의 확대로는 이어지지 않고 있어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은 디지털 유료화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최근 LG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비량 증가가 시장규모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로 유료시장이 없는 점과 광고모델에 의존하는 점을 꼽았다. 즉 광고시장의 성장이 수반돼야 한다는 맹점이 생겨나고 이로 인해 디지털 유료화는 갈수록 어려워진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광고 전체시장이 최근 5년간 연평균 1%미만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점을 미루어 볼 때 광고 수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의 성장은 한계에 다다랐다고 평가하고 있다.

여기에다 소비자의 의식변화도 걸림돌이다. 최근 각종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뉴스 콘텐츠를 구독하기 위해 돈을 지불할 의사가 전혀 없는 소비자가 전체의 77%를 차지했으며 5%만이 구매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무료 디지털 콘텐츠를 유료화하려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업체가 올해부터 유료 영화 다운로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지상파 3사가 공동으로 유료 다운로드 서비스 ‘콘팅’을 오픈하고, 조선일보 등 일부 신문사도 유료화를 검토하는 등 국내 콘텐츠 기업들도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바람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앞서 해외에서는 지난해 8월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이 이미 유료화된 월스트리트저널을 포함해 더 타임즈, 더 선, 뉴스 오브 더 월드 등 뉴스코퍼레이션 산하의 모든 온라인 뉴스 콘텐츠를 유료화 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파이낸셜 타임즈, 뉴욕 타임즈, 노혼게이자 신문 등 대형 언론사들도 유료화에 동참하고 있다.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위한 조건과 대안은?

유료화의 성공을 위해서는 불법복제의 제도적 장치 마련, 디지털 콘텐츠 가치의 차별화 등이 조건으로 제기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 2조2천500억원 가량이 불법복제로 인한 피해로 추정되면서 이에 대한 기술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최근 확산되고 있는 아이폰, 아이패드와 같은 혁신적인 디지털 기기가 디지털 콘텐츠의 성공적인 유료모델로 성공하기 위한 보장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앞서 2000년대 초, 이미 냅스터 등 개인간 파일공유 서비스를 통한 디지털 음원 불법복제가 만연하던 상황에 애플은 원클릭 결제 시스템과 검색 기능 등 구매 방식을 최대한 편리하게 하고 앨범 단위가 아닌 곡 단위 판매를 시도함으로써 디지털 음원의 유료화를 성공시켰다.

이를 토대로 모방이 아닌 창조적인 관점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유료화를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치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최근 앱스토어는 유료 어플리케이션 판매량 중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던 화면을 터치하면서 즐기는 게임, 아이폰 자체를 흔들거나 기울이면서 즐기는 게임 등 PC로는 느낄 수 없던 또 다른 재미의 게임 등을 제공함으로써 PC게임을 구매했던 기존 사용자들이 앱스토어의 모바일 게임을 추가로 구매하도록 했다.

향후 디지털 콘텐츠 관련 업계가 더욱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부여하고, 부가적인 가치 관점에 치중되지 않을 때 이같은 성공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게임 외의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도 연결성을 부여해 핵심 가치를 차별화하는 방안도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빠르고 새롭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기와 콘텐츠에 걸맞게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LG경제연구원 김종대 연구원은 “관련 업계에서 투자 없이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광고 비즈니스 모델에 안주할 수도 있겠지만 향후 수년간 모바일 기기의 확산 등으로 콘텐츠 소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디지털 콘텐츠 유료화 가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디지털과 콘텐츠의 화학적 결합으로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시장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고 지적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