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경기도교육청의 BTL(임대형 민자사업) 학교 운영성과 평가에 대한 공정성 논란과 시행사의 친환경시설에 대한 혈세 낭비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9월 1·3일자 6면 보도), 도내 일부 학교에서는 도교육청과 시행사의 일방적인 물품 납품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고 있어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6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BTL학교를 건설하는 해의 10월 말쯤 기존 학교와 최근 개교한 학교의 의견 수렴을 통해 다음해 개교하는 BTL학교의 필요 비품 목록(규격, 수량 포함)을 작성해 시행사에 전달한다.
이에 대해 시행사는 협의를 거쳐 승인하고 11월 말경 비품 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학교 물품을 납품한다.
도교육청에서는 이들 학교의 교직원들 발령에 앞서 칠판, 게시판, 사물함, 책·걸상 등 기본비품을 미리 발주 승인해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해당 학교의 교직원들은 구성원들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은 비품 설치 등으로 학생들의 생활 불편이 야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내 BTL방식으로 올해 개교한 A고등학교는 초등학생용 크기의 사물함 설치 등으로 학생들의 불편이 제기됐다.
이 학교 관계자는 “교직원들이 발령나기 전에 기본 물품을 설치해주다보니 칠판과 사물함 이용에 불편한 점이 많다”며 “교사들은 분필 가루 때문에 물백목 칠판을 쓰고 싶어하지만 시공사에서 납품한 흑칠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사용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학생들이 이용하기 불편한 작은 크기의 사물함이 설치돼 있어 학교운영비를 부담해 교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B고등학교 또한 올해 개교 당시 이런 불편을 겪어야 했다.
학교 관계자는 “개교한 후 교직원들의 교재교구 교체 요구가 있어 학기 중에 불편을 감수하고 납품 업체를 통해 교체한 일이 있었다”며 “그러나 칠판 교체는 비용 부담이 많이 돼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들 학교에서는 책·걸상 또한 학생들 실정에 맞춰 교체하고 싶어하지만 이미 대금이 치러지고 교체 과정이 복잡해 불만을 감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도교육청 관계자는 “BTL학교마다 4차례에 걸쳐 비품 검수 과정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불만 사항이 많이 개선됐다”며 “정해진 비용 한도 내에서 교체 요구가 들어올 경우 최대한 수용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