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부패공무원이 2007년부터 올해 8월말까지 70명에 달하는 등 4년동안 62%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이 23일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시도교육청 부패공직자 현황' 국감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7년 이후 올해 8월까지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총 453건의 부패공직자가 적발된 가운데 경기도교육청이 15%를 차지해 경남교육청에 이어 두번째를 기록했다.
경기교육청 연도별 부패공무원 수는 지난 2007년 13건, 2008년과 2009년 각각 18건이던 것이 올해는 21건으로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징계유형별로는 2007년에는 향응수수가 가장 많은 6건이었고, 공금황령·유용(5건), 증·수뢰와 기타가 각각1건이고, 2008년에는 증·수뢰(8건), 공금횡령·유용(3건), 예산 및 재정관련 법령위반(2건), 문서 위·변조와 향응수수(1건), 기타(3건) 순이었다.
이어 2009년에는 공금유용·횡령이 가장 많은 13건을 차지했고, 향응수수(3건), 예산 및 재정관련법령 위반(2건)등이었고, 올해는 증·수뢰가 가장 많은 14건이고, 공금횡령·유용(4건), 향응수수(2건), 예산 및 재정관련 법령위반(1건) 순이었다.
연도별 중징계인 파면·해임·정직·강등을 받은 교육공무원은 2007년 해임과 정직이 각각 2건 등 4건이었고,2008년에는 파면(2건), 정직(3건) 등이 5건이고, 지난해는 정직이 가장 많은 8건이고, 파면(3건), 해임(2건) 등 모두 13건이었다.
올해에는 정직이 9건이고, 해임(4건), 파면(1건) 등 벌써 14건에 달하고 있다.
중징계 비율은 2007년 30.7%에서 2008년 27.7%로 다소 낮아졌으나 지난해는 72%로 급증했고, 올해도 62%를 기록하고 있는데, 전국 평균인 2007년(46.1%), 2008년(36.3%), 2009년(38.8%), 올해 34.4%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전국 시도교육청별 부패공직자는 경남교육청이 77건으로 가장 많고, 이어 경기(70건), 서울(61건), 전북(34건),경북(29건)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