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학년도부터 광명, 안산, 의정부 지역에 고교 평준화 제도가 실시된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들 세 지역에 대한 고교입시 과열, 통학 여건, 수용 여건, 여론 지지율 등 4가지 기준을 검토한 결과 고교 평준화를 도입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14일 밝혔다.
세 지역의 고교 평준화는 2012학년도 입학대상인 현재 중학교 2학년생부터 적용된다.
이로써 도내 고교 평준화지역은 1979년 수원, 2002년 성남, 안양권(군포·의왕·과천 포함), 부천, 고양에서 시행된 후 모두 8개 학군 11개 시로 늘어난다.
세 지역의 고교 평준화는 김상곤 교육감의 공약사항으로 지난해 5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정책효과 분석, 타당성 연구, 여론조사, 정책 검토 및 지역순회, 도의회 보고회 등을 진행해왔다.
도교육청은 이달 중 관계법령 개정을 신청하고 내년 3월까지 학군 지정, 7월까지 배정방법 확정 등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평준화 제도의 정착을 위해 3대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피 고교의 교육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실사단을 투입해 세밀한 조사로 원인을 분석하고 행·재정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택지 개발에 따른 인구 변화와 학생 수요를 분석해 학교 신·증설로 학교·학급당 학생수를 줄여 과대학교, 과밀학급 문제를 해소할 방침이다.
일반고교의 질을 높이는 차원에서 사립고의 정규교원 확대, 교육과정 특성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 다양화 등 수월성 교육을 내실화하고 장학 활동을 강화해 학생·학부모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세 지역 모두 학생·학부모의 평준화 찬성률이 3분의 2를 넘어 고교 평준화를 강력히 희망했다”며 “안정적인 조기 정착을 위해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지역내 기피학교의 교육여건 개선을 위해 내년에 3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힌 뒤 “평준화 확대에 대해서는 지역여론이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입장”이라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