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기초자치단체와의 사업 융합으로 지역공동체 중심의 교육정책 추진을 위해 올 연말부터 실시하는 혁신교육지구 사업에 도내 16개 시·군이 신청해 4대 1의 경쟁률을 보이며 뜨겁게 달아올랐다.
도교육청은 지난 15일까지 기초자치단체의 혁신교육지구 사업 신청을 마감한 결과 16개 시·군이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신청 시·군은 광명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동두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성시, 안양시, 양평군, 오산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화성시 등 16곳이다.
이들 자치단체들은 학교생활 부적응 청소년들의 지원 프로그램과 IT관련 교육, 초·중·고교 혁신학교 벨트 조성, 교육비전센터 설립 등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사업을 제시하며 혁신교육지구 지정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
도교육청은 앞으로 16개 시·군의 사업 계획에 대해 혁신교육지구 선정 평가위원회에서 검토 및 심의한 후 다음달 12일 4곳 안팎의 선정지구를 발표할 계획이다.
혁신교육지구로 지정되면 5년간 학교장 공모, 우수 교원 선발, 보조교사 지원 등을 통해 공교육 환경을 혁신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인력과 재정, 제도적 방안이 집중 지원된다.
선정 기준은 ▲지역구성원의 추진 의지 ▲사업계획 실행 가능성 ▲혁신교육지구 설정 적합성 ▲담당조직 설치계획 ▲관련조례 제·개정계획 ▲특화사업 내용 및 실현 가능성 ▲담당조직 설치계획 ▲민간재원 유치 계획 등 8가지다.
혁신교육지구 선정 평가위원회는 혁신교육에 관심이 많고, 해당 분야의 명망있는 전문가를 전국에서 초빙해 10여명 내외로 구성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선정된 시·군과 개별 협의를 거쳐 오는 12월 중순 MOU를 체결한 후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돌입할 예정이다.
도교육청 김원찬 기획관리실장은 “당초 예상보다 많은 기초자치단체가 신청했다”며 “지역 내에서 혁신교육 추진의지가 강한 만큼 혁신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경기교육의 변화를 이루고 도민들의 열망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