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3.4℃
  • 흐림강릉 21.2℃
  • 흐림서울 23.9℃
  • 대전 23.2℃
  • 대구 23.8℃
  • 울산 23.6℃
  • 구름많음광주 24.0℃
  • 부산 23.0℃
  • 구름많음고창 24.3℃
  • 흐림제주 28.1℃
  • 구름많음강화 23.5℃
  • 흐림보은 22.5℃
  • 흐림금산 23.2℃
  • 구름많음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5℃
  • 흐림거제 23.3℃
기상청 제공

쌀 연구원 부족 ‘식량난 무방비’

수급·가격안정대책 편중 R&D분야 홀대
핵심 인력 매년 감소… “피해는 농민·국민 몫” 지적

쌀 재고와 소비 감소 문제로 정부가 대책마련에 나선 가운데 정작 쌀 생산의 핵심인 쌀 연구 인력은 해마다 줄고 있어 향후 식량위기 상황 시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8일 농림수산식품부와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쌀 재고 문제 해결을 위해 추석 전부터 쌀 수급대책 상황실을 꾸려 쌀 수급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농협과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산물품질관리원 소속 직원 1명씩 파견된 상황실의 활동 시한은 올해 말까지로 농식품부 장관 및 1, 2차관, 청와대에까지 쌀 수급 및 가격 동향, 벼 베기 상황을 보고한다.

이처럼 정부가 뒤늦게 대책마련에 나섰지만 정작 중요한 벼(쌀) 관련 R&D(연구 개발) 분야는 찬밥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실제 쌀에 대한 소비와 관심이 줄면서 수도권 소재 농업 연구 기관의 쌀 분야 연구 인력도 해마다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례가 경기도농업기술원으로 이곳은 지난해부터 조직 개편을 통해 연구개발부 산하에 기후변화대응팀과 도시농업팀, 미래농업팀을 신설했다.

문제는 쌀 관련 연구 조직에 근무하던 연구사 6명이 모두 신설팀에 배정되다 보니 쌀 연구 인력이 절반 가까이 줄어 현장 대응 능력이 떨어진다는 데 있다.

도농기원 작물육종팀 지정현 팀장은 “지난 1980년대부터 기계화와 고품질화 추세, 비료와 병해충 분야 등이 안정화 단계에 진입했다”면서 “하지만 국가 농업 기간 작물인 벼에 대한 투자와 인력 보강을 정부가 외면하다보니 현장 벼 연구에 어려움이 크다”고 호소했다. ▶2면에 계속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