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아토피 완화와 식습관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부천 도당초등학교 2∼6학년 학생 1천403명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 급식 뒤 아토피 증상 호전여부를 구두조사한 결과, 110명이 아토피 증세가 있는 110명 가운데 학교급식 뒤 절반이 넘는 60명이 상태가 호전됐다고 답했다.
이는 당초 전체 학생의 7.8%(110명)에서 4.3%(60명)로 준 셈이다.
도당초등학교는 5년째 친환경 식자재 학교급식을 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학교 학생 1천740명 전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73%가 학교급식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하고 만족하는 이유로 53%가 영양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어서, 24%가 친환경 급식이어서 등 친환경 급식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또 학교급식 후 달라진 습관에 대해 50%가 싫어하던 음식을 먹게 됐다고 했고 18%가 편식이 교정됐다고 답했다.
이 학교 급식 관계자는 “아토피는 학교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관리하기 때문에 학교 급식 때문이라고만 말할 수는 없지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라며 “친환경 급식은 아토피 뿐 아니라 식습관을 바꿔줘 학부모들이 더 많은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 광진구가 지난 2008년 어린이집 급식을 친환경 재료로 바꾼 뒤 아토피 증세 어린이가 47명에서 18명으로 줄고 아토피 의심 증세 어린이는 31명에서 7명이 됐다고 밝혔다.
학교급식 제주연대는 지난해 10월 학생, 학부모, 영양교사 등 3천306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친환경 농산물 학교급식에 대해 학생 71%, 학부모 85.3%, 영양교사 98.5%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들은 친환경 농산물 급식 효과에 대해 ▶아토피 등 건강(학생63.4%, 학부모80.9%, 영양교사86.3%) ▶농촌경제 활성화(학생67.5%, 학부모77.3%, 영양교사79.4%) ▶식습관 개선(학생60.6%, 학부모76.7%, 영양교사73.3%) 등이라고 답했다.
친환경 급식에 대한 기대와 효과에 대해 학생보다 학부모가 더 적극적인 점이 눈길을 끌었다.
구직급여 수급요건이 완화되고 구직촉진수당이 도입되는 방안이 추진된다.
민주당 홍영표(부평을) 의원은 실직자 보호의 유일한 수단인 고용보험이 사회안전망으로서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현실을 개선하고자 ‘고용보험법’ 개정법률안을 이같이 발의했다고 4일 밝혔다.
개정안은 고용보험 가입자에 대한 소득보장 기능강화하고 고용보험에서 배제되어 있는 취약계층 소득지원 대책 마련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개정안은 특히 소득보장 기능 강화를 위해 ▲구직급여 수급요건인 피보험 단위기간을 180일에서 120일로 완화 ▲구직급여 급여일수를 최장 360일로 연장 ▲자발적 이직자도 3개월이 지나도록 실업상태에 있는 경우 실업급여 지급 등을 마련했다.
또 취약계층 소득지원 대책으로 일정소득 이하의 실업급여 수급이 종료된 실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하였으나 피보험단위기간이 120일 미만인 실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한 사실이 없는 실업자, 폐업영세업자에게 최저임금의 80%인 구직촉진수당을 180일 한도 내에서 지급하도록 했다.
홍 의원은 “취업준비생, 구직단념자, 고용불안정자 등을 포함한 ‘사실상 실업자’가 400만명에 육박하는 등 고용대란이 고착화된 만큼 소득이 상실된 사람은 누구나 적정수준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고용보험법을 개정하는데 그치지 않고 향후 실업인구를 최소화 하는 고용안전망 정비를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