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목회’ 후원금에 대한 검찰 수사가 여의도를 강타하면서 도내 의원들도 예년에 비해 후원금 모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9일 도내 일부 의원실에 따르면 국정감사가 끝난 뒤 통상 11~12월이 ‘정치 후원금의 계절’로 불릴 만큼 후원금 모금이 많았지만 현재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특히 올해 후원금 모금은 지방선거가 있어 한도액이 3억원까지 가능한 중요한 연도지만, 이번 사건으로 모금액이 절반에도 못미치는 의원들이 대다수 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선거가 없는 내년에는 모금 한도액이 1억5천만원으로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하면 의원들에게 있어 올해 후원금은 그만큼 중요하다. 특히 내년을 넘긴 2012년 차기 총선을 앞두고 있어 정치인들에게 있어 사실상 올해가 ‘수확의 해’로 불리기도 한다.
A 의원실 한 관계자는 “얼마남지 않은 기간동안 후원금 모금에 적극적으로 나서자니 이번 사건으로 주변의 시선이 부담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고 또다른 B 의원실 관계자도 “‘청목회’와 관련이 없는 의원들까지도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며 후원금 모금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하지만 여야 또는 의원 선수에 따라 후원금 모금과 이번 사건과는 별개라는 상당한 인식 차도 엿보인다.
한나라당 도내 중진의 한 의원실은 “후원금 모금에 특별히 영향을 받지 못했고, 연말 정산을 받으려고 11월부터 지역쪽에서 꾸준히 들어오고 있는데 여당이니까 영향이 덜한 점도 있을 것”이라면서 “올해 모금 한도액이 3억이라 다 채우지 못했지만 평년해 1억5천만원 같으면 이미 다 넘어섰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한나라당 한 의원실 관계자도 “아직 한도액을 다 채우지는 못했지만 그것(청목회)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고, 작년에도 채우지 못했다”며 “소관 상임위와 관련이 있는 업체나 단체에서 후원이 들어오면 일일이 찾아서 돌려주고 있기 때문으로, 평소에 하던 대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의원실 한 관계자는 “돈이 들어오는 것이 없다”며 “원래 11월부터 12월 사이 연말 정산을 받으려고 집중되어 들어오는데 이번 사건으로 영향이 크다”고 후원금 감소 원인을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보통때는 지역에서 친구 분이나 지인을 통해 10만원까지 세금공제를 받으라고 하면서 부탁했다”며 “내용을 잘 아시는 분은 해주는 경우도 있었다”고 털어놨다.
특히 다른 민주당 보좌관은 “검찰이 합법적으로 후원금 계좌를 통해 정상적으로 영수증을 처리해준 것에 대해 수사를 할 것은 아니다”며 “그렇게 하면 상당수 국민이 범법자가 될 수도 있어 영수증 처리 없이 현금으로 받은 것에 대해서만 법 위반으로 수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