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道 안보기획관 신설 제기

유사시 군관협력 필요성 대두
김지사 안보자문단 회의 논의

최근 북의 연평도발 이후 북한의 2차 공격대상이 경기도라는 외신 보도가 이어지면서 유사시 군-관 협력체계를 위한 도 조직 내 ‘안보기획관’ 신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경기도는 북한과 맞닿은 접경지역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가 운영하는 비상기획관제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마저 일고 있다.

6일 경기도와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1969년부터 군 출신의 ‘비상기획관’을 두고 전시 및 유사시를 대비, 수도방위사령부 등과의 군-관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 비상기획관은 전시를 대비한 계획 수립과 충무훈련, 화랑훈련, 을지연습, 화생방, 민방위 업무, 민·관·군 대피훈련, 군사보호구역 관리 등 군 관련 협조사항까지 총괄 담당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비상기획관실엔 46명의 인원(공무원 41명, 용역 5명)으로 운영되며 중앙정부의 지시를 신속하게 수렴하고 있다.

반면, 경기도의 경우 파주·연천 등 접경지역과 군사시설 보호구역 등이 산재, 서울보다 ‘안보적 역할론’에 더욱 무게를 두고 있음에도 기획관제는 먼나라 이웃 얘기처럼 들리고 있다.

이 같은 지적이 일자 김문수 지사도 지난 3일 안보자문단 회의를 통해 비상기획관 신설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접경지역과 군사시설 문제 등으로 더욱 안보에 신경써야 한다”며 “도의 업무분담으로 흩어져 있는 부서들이 통합돼 비상시 전문적으로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안보기획관이 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김문수 지사는 실·국장들과 함께 용인의 3군 사령부를 방문해 1시간30분여간 군과 도간 협력체계 강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