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합, 얼마나 진행됐나
2. 예고된 갈등
3. 연착륙 통합 방안
화성시의 화성도시공사와 화성시시설관공단이 지난해 4월 행정안전부로부터 경영선진화를 위해 합병을 통보 받은 뒤, 1년 가까이 흘렀다. 그러나 화성시는 정부에서 통보한 최종 합병 기일인 3월31일을 약 한 달 정도 남겨놓은 상태지만 실질적인 양 기관 통합에 대한 청사진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보는 화성도시공사와 화성시시설관리공단 통합의 시발점과 현재 상황에서 이렇다 할 진척이 없는 점 등에 대한 원인 규명과 함께 양 기관의 연착륙 통합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편집자 주>
화성시의 화성도시공사와 화성시시설관리공단이 행정안전부로부터 통합 명령을 받은 지 1년 가까이 흘러 통합의 최종기한이 1달여 앞으로 다가왔지만 시는 통합에 대한 이렇다 할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통합 대상 기관들의 반대 목소리가 점점 커지며 앞으로 더 큰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27일 화성시에 따르면 시 산하 공기업인 화성도시공사(이하 공사)와 화성시시설관리공단(이하 공단)은 지난해 3월 행정안전부로부터 경영 내실화를 위한 통합 대상 지방공기업에 선정됐다.
정부는 화성시 산하 공기업 통합과 관련해 공단은 해체하고 공사체제로의 합병을 기본으로 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단순 반복업무에 대한 위탁운영과 지원부서 및 도서관업무에 대한 중복기능을 조정하고 인력은 당시 양 기관 전체인원 191명에서 9명을 감축해 182명의 통합조직을 설립할 것을 제시했다.
당시 공사는 설립(2008년) 이후 사업실적이 미흡하고 전곡해양산업단지의 사업성이 불투명해지면서 경영악화가 현실화된 상태였고, 공단 역시 무수익사업 증가 등 경영수지 악화로 인해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화성시가 통합에 대해 미온적 태도로 일관하는 하는 사이 두 기관의 통합 반대의견도 점점 격화돼, 공사는 “업무의 성격이 확연히 다른 두 기관을 통합하게 되면 업무 혼선과 조직 이질화가 불 보듯 뻔한 일”이라며 통합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공단 역시 “사실상 공단은 비영리 기관이나 다름없기 때문에 공사와는 설립 목적부터 다르다”며 통합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성시는 지난 1월에야 두 기관의 통합에 대한 표준안(합병결의안)을 마련했지만 이마저도 통합 기관 사장 선임권 등의 반발에 부딪혀 최종 통합 기한인 다음달 31일까지의 통합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통합사장 선임 등에 대해 최대한 빠른 시일 안에 협의를 이끌어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화성=최순철·정재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