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특성화(전문계)고 졸업자의 ‘선취업·후진학’ 제도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인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또한 공급자인 특성화고 현장 교사들은 산업 현장의 최신 지식과 기술을 수집·분석해, 담당교과 교육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강화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인천지방중소기업청은 시교육청, 이윤성 의원과 공동으로 현장 교사와 산업체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는 능력시대-학력차별 철폐’를 주제로 ‘직업교육정책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산업계와 학계, 관계 관계자 모두 학력차별을 없애기 위해 직업교육을 정상화시켜야 한다는 데는 동의했으나 구체적 대책에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특성화고 경쟁력 강화를 통한 학력차별 철폐’를 발제한 이종윤 시교육청 직업교육담당장학관은 “직업교육이 위기를 맞은 것은 특성화고 출신에 대한 산업계의 불신, 산업체의 요구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 운영,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실업계고 진학생 감소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강성원 인천지방중소기업청 연구관과 임기운 인천상공회의소 팀장은 “그동안 전문계고 교육정책이 수요자인 산업계 보다 공급자 중심으로 시행돼 왔다”며 “특성화고 출신을 채용하는 기업에 대한 세제상 혜택, 산업기능요원 우선 배정과 같은 획기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신효국 인천기계공고 교사는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상공회의소, 중기청, 산업계, 노동계가 모두 참여하는 직업교육훈련협의회를 구성, 산학협동을 시스템화 해야 특성화고 출신의 취업률이 향상 된다”고 말했다.
정지혜 참교육학부모회 인천지부 사무국장은 “특성화고에 대한 학부모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은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라며,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특성화고 진학설명회’를 개최할 것을 교육청에 건의했다.
이에 대해 이윤성 의원은 “특성화고 출신을 지방공무원으로 특별 채용하자는 취지로 대표발의 한 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은 행안위를, 준 공무원인 공공기관 신입사원으로 특별 채용하자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안은 기재위를 곧 통과할 전망”이라며 “이들 법안이 국회에서 처리되면 우수한 기술인재의 취업길이 크게 넓혀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