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금융감독원에 문을 연 ‘불법사금융 피해신고센터’에 문의가 폭주하면서 오전 한때 전화연결이 불통되는 등 시민들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신고센터는 오전 10시 현판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지만, 한 시간 전인 오전 9시부터 전화가 폭주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한때 신고 대표전화인 1332의 연결이 원활하지 못 하는 등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불법사금융피해 접수건수가 1천58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평소 접수건수(약 60건)와 비교가 안 되게 많은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 17일 불법사금융 척결방안을 발표한 후 관련 문의전화가 증가하자 당일 오후 5시부터 피해신고를 접수받았다.
신고센터에 접수된 사연들은 불법사금융 피해의 심각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방에 거주하는 박모씨의 경우 지난 2000년초 전단지 광고를 보고 사업자금 마련을 위해 무등록 대부업체로부터 일수대출로 100만원을 빌렸다.
그리 크지 않은 액수지만 박씨는 아직도 원금을 다 갚지 못했다. 이자가 눈덩이 처럼 불어났기 때문이다. 박씨는 100일 동안 매일 1만3천원을 상환(연 200%)하는 등 현재까지 약 2억원의 사채를 이용중이다.
이로 인해 박씨는 가게로 찾아온 대부업자에게 채무상환을 요구당하면서 협박을 받았고, 본인 뿐 아니라 지인들에게도 연체사실을 알리고 폭언을 하는 등 피해를 당했다. 하지만 그는 보복이 두려워 그동안 신고를 하지 못했다.
박씨의 신고가 접수되자 신고센터 직원은 즉시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고 새희망홀씨 등 저금리의 서민금융상품을 안내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불법 사금융 척결방안은 불법 사금융 피해로부터 서민 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하는 것”이라며 “금융지원·신용회복·법률지원을 종합적으로 제공하고 신고·상담·피해구제를 연계해 추진하는 만큼 불법 사금융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서민들은 적극적으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