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지난 25일부터 총파업에 들어가며 물류대란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 산하 전국건설노동조합도 2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간다.
특히 이들의 총파업과 함께 민주노총이 노동탄압 중단, 노동기본권 및 민중생존권 보장 등을 포함한 10대 과제와 78개항에 이르는 노동법 개정 및 사회개혁 입법안을 요구하면서 8월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여서 하투(夏鬪)가 본격화된 것 아니냐는 예상이다.
건설노조는 26일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보장, 건설현장 체불 근절, 4대보험과 퇴직금 전면적용 등을 내세우며 2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건설노조는 28일 2만여명의 조합원들이 서울에 집결한 가운데 총파업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열 계획이다.
건설노조에 따르면 건설현장 임금체불액은 지난 2007년 949억원에서 지난해 1천660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노조에 신고된 조합원 체불은 326건 390억원으로, 이중 4대강 공사와 LH 등 관급공사 현장이 70%를 차지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화물연대도 26일 물류대란을 막기 위해 오는 27일 오후 정부청사에서 끝장 교섭을 개최할 것을 정부 측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지금까지 평화적 기조를 유지하며 투쟁했지만 화물노동자들의 인내에도 한계가 있다”며 “정부는 공권력에 의존해 사태를 해결할 생각을 버리고 화물연대와 성실한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화물연대 집계에 따르면 파업 이틀째인 26일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물류수송이 중단된 상태다.
평택항, 포항철강공단, 부산항, 광양항은 80% 이상 운행이 중단됐고, 의왕ICD도 정상적 운행이 되지 않고 있다.
이밖에 주요 산업단지에서 비조합원들이 파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면서 전체 대형 화물차의 90%인 8만대 이상이 파업에 참여 중이라고 화물연대 측은 설명했다.
한편, 화물연대에 이어 건설노조가 파업에 가세하면서 민주노총의 8월 총파업 투쟁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