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획기적인 서비스 혁명’이라고 까지 극찬하며 수십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는 통합브랜드 콜택시인 ‘GG콜’의 가입택시가 당초 목표에 ⅓에 그치면서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6월29일자 1면, 7월2일자 2면 보도) 도가 목표 가입대수도 채우지 못한 대다수 콜센터에 만족도조사 결과만을 토대로 인센티브까지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도민 혈세로 콜센터만 배불리고 있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일고 있다.
반대로 GG콜의 목표 가입대수를 모두 채운 일부 콜센터는 이용자 만족도가 낮다는 이유로 최하위로 선정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도의 콜센터 평가기준에 의문점마저 제기되고 있다.
3일 경기도에 따르면 GG콜 출범 첫 해인 지난 2010년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해 일부 콜센터에 총 1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 과정에서 각 콜센터 사업자가 제출한 목표 가입대수 달성률은 차치하고 고객만족도 조사결과를 기준으로 안산의 안산콜과 의정부의 의정부연합콜, 안양권 통합 비둘기콜을 우수 콜센터로 선정, 인센티브를 나눠 지급했다.
그러나 이들 업체들은 GG콜 콜센터 선정 당시 목표 가입대수를 각각 500대와 300대, 800대로 약속했지만 2011년 9월까지 345대, 279대, 520대 가입에 그쳐 목표대수를 채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반해 양주시의 한영콜은 72대의 목표 가입대수를 모두 달성했지만 만족도 조사결과 인센티브 지급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나타나면서 도의 평가기준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한 민간콜택시회사 관계자는 “도가 서울의 택시정책을 따라하면서 도민의 세금 수십억원을 투입해 만든 GG콜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개선은 커녕 아까운 혈세만 축내고 있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든다”며 “더이상 막무가내로 밑빠진 독에 물붓기를 할게 아니라 지금이라도 제대로 된 평가기준과 일관된 정책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시급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지역별로 흩어진 콜센터가 굉장히 고생을 많이 하고 있다”면서 “예산만 허락한다면 GG콜 활성화를 위해 인센티브를 대폭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