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출출할 때 너구리라면 못 먹나?

발암물질 ‘벤조피렌’ 검출 파장… 농심·식약청 “평생 먹어도 안전” 해명

농심 라면제품에서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검출돼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식약청과 농심이 안전하다고 해명에 나섰지만, 소비자들의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번에 발암물질이 검출된 라면 가운데 너구리는 지난해 이물질이 검출됐던 터라 소비자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24일 민주통합당 이언주 국회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가쓰오부시 분말 벤조피렌 시험성적서’에 따르면 농심의 ‘생생우동’과 ‘너구리’ 제품에서 벤조피렌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청은 지난 6월 D업체에서 생산하는 ‘가쓰오부시’에 벤조피렌이 다량 함유된 것을 확인했고, D업체 대표는 식약청의 고발로 이례적으로 구속 기소됐다.

1급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불완전 연소되는 경우 생성되는 물질로 인체에 축적될경우 암을 유발하고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환경호르몬이다.

논란이 커지자 식약청은 해명 자료를 내고 “D사로부터 가쓰오부시 원료를 공급 받은 ㈜농심 등이 제조해 국내에 유통한 라면 수프 등 30개 제품의 벤조피렌 함량을 검사한 결과, 불검출~4.7ppb로 한국 훈제건조어육 기준보다 낮은 안전한 수준”이라고 해명했다.

농심도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올려 “농심 제품은 전 세계 80여개국에 수출되고 있으며 벤조피렌과 관련해 안전성 문제가 제기된 경우는 한 건도 없다”며 “해당 제품 섭취로 말미암은 벤조피렌 노출량은 조리 육류의 벤조피렌 노출량보다 1만6천배 낮은 안전한 수준이며, 끼니마다 평생 섭취해도 인체에 해가 없다”고 설명했다.

식약청과 농심의 이같은 해명에도 네티즌과 시민들의 불안감과 비난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시민 정모(34)씨는 “지난해 4월에도 너구리라면에서 이물질이 발견된 기억을 농심은 벌써 잊은 것 같다”며 “생활 속 대표 식품인데다 사실을 공개하고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네티즌들은 “소비자는 암에 노출되든 말든 자기들 이익만 챙긴 것이 아니냐”, “발암물질이라니 내 몸에 암 덩어리를 주고 있었다”, “농심은 새우깡 쥐머리부터 짜파게티 나방, 둥지냉면 애벌레, 새우깡 쌀벌레, 너구리·생생우동·새우탕 발암물질까지 일관성이 있다. 장인 정신이 느껴진다”며 농심의 행태를 비꼬았다.

한편, 농심은 지난 2008년 자사 제품인 ‘노래방새우깡’에서 죽은 쥐 시체로 추정되는 물질이 나와 ‘생쥐깡’ 파문이 일자 관련 제품을 일제히 수거하고 생산 중단에 나선 바 있으며,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신라면블랙’의 허위·과장 광고로 억대의 과징금을 맞기도 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