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급식조리원들이 지난 9일 일제히 파업에 돌입하면서 학생들의 급식에 차질이 빗어졌지만(본보 11월 8일·9일 22·23면 보도) 연대회의는 교과부 및 경기도교육청과 의견이 좁혀지지 않자 이달 중순쯤 2차 파업을 예고하고 있어 학교 급식의 파행이 예상되고 있다.
11일 경기도교육청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비정규직연대)에 따르면 학교비정규직연대는 호봉제 도입과 수당의 신설, 정규직화, 교육감의 직접 고용 등 요구사항을 두고 도교육청과 두차례의 본교섭과 여섯차례의 실무교섭을 실시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기도 학교비정규직연대는 지난 9일 급식조리원 3천여명을 포함한 도내 399개 학교에서 총 5천여명의 근로자들이 일제히 파업에 참여했다.
그러나 이들은 교육과학기술부가 여전히 아무런 대안도 내놓지 않고 있는데다, 예산지원도 해주지 않으면서 도교육청에 결정권을 떠넘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요구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2차 파업을 강행한다는 입장이다.
안명자 경기도 학교비정규직연대 공동대표는 “20일쯤 16개 시·도교육감들이 모여 이번 문제를 두고 회의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당사자들의 의견을 듣지도 않은 상황에서 회의를 한다는 것 자체도 이해할 수 없다”며 “이번주 초 경기도 비정규직연대의 회의를 통해 향후 대응 방향을 결정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예산상 문제와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결정 사항 등 도교육청 차원에서 결정을 내리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양측의 입장 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며 “도교육청은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기 위해 도교육청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해 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