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총장의 비리문제로 내분에 휩싸인 경기대학교가 정이사체제 전환 79일만인 15일 진통끝에 이사장을 선출했다.
그러나 구 재단 측 이사 전원이 이사회에 불참하고 정이사체제에 불만인 교수 수십명이 이사회 개최를 막아서는 등 마찰이 노골화되면서 사태해결이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15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30분쯤 서울 강남구 P호텔에서 경기대 이사장 선출을 위한 이사회가 열렸다.
지난 8월28일 교과부가 7명의 이사(정이사 6명·임시이사 1명)를 임명한 지 79일만이다.
이날 이사회에는 이사 7명 가운데 박승철 성균관대 교수, 염태영 수원시장, 김태준 덕성여대 교수, 이진석 경기도 부교육감 등 4명만 참석해 만장일치로 박 교수를 이사장으로 호명했다.
이사회 개최를 인정할 수 없다며 불참한 손 전 총장의 누나 손희자 이사 등을 비롯한 구 재단 측 이사 3명은 즉각 이사회 무효를 주장했다.
박두복 외교안보연구원 명예교수는 “오늘 이사회는 ‘7명 전원이 참석했을 때 이사장을 선출하자’는 이사 간 약속을 어긴 것이어서 무효”라며 “정이사체제 전환 대학에 임시이사를 임명한 것 자체가 교과부의 모순이고 불법이기 때문에 이사회를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구 재단 측 주장과 달리 이날 박 교수를 이사장으로 선출한 이사들과 교과부는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사장 선출에 법적으로 문제되는 부분은 없다”면서 “임시이사 역시 정이사체제가 자리잡을 때까지 교과부 파견인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사장으로 선출된 박승철 교수도 ”학교 정관에 따르면 과반수의 이사 서명으로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며 “약속시간까지 장소에 나오지 않은 이사 3명은 불참한 것으로 간주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이사회는 구 재단 지지 경기대 교수 등 30여명이 이사들의 입장을 저지해 30분가량 지연된 끝에 2층 식당에서 1층 카페로 변경돼 개최됐다.
구 재단 측 이사들은 이날 이사회가 적법하지 않다며 법적 대응을 하기로 해 이사회를 둘러싼 내부 갈등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