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대통령 선거 부재자 투표 신고가 시작되는 가운데 과거 선거와 달리 대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신청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도내 주요 대학에 따르면 학내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를 추진중인 곳은 경희대 용인 국제캠퍼스와 중앙대 안성캠퍼스, 경기대 등 3개 대학에 불과했다.
도선관위는 최근 각 대학에 부재자 투표소 설치 안내 공문을 보냈다. 설치를 원하는 대학은 내달 4일까지 관할 선관위에 신청하면 된다.
그러나 나머지 대학은 설치 계획이 없거나 이미 “투표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선관위에 통보한 상태다.
대학내 부재자 투표소 설치 신청이 과거와 달리 부진한 것은 무엇보다 학내 무관심이 가장 큰 이유다.
대부분의 대학 당국이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데다, 학생회 선거기간과 맞물리면서 학생회의 관심도 시들한 모습이다.
한국외대, 용인대 등은 “부재자 학생 수가 몇백명에 불과하다”며 투표소를 설치하지 않기로 이미 선관위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공직선거관리규칙에 따르면 부재자 투표소는 특정기관·지역에서 투표 신청인이 2천명 이상일 경우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투표인이 2천명이 되지 않더라도 지리·교통 등의 사유가 있다면 시·군·구 위원회 의결로 투표소를 설치할 수 있다. 지난 총선 때는 전국 29개 대학에 투표소가 설치됐다.
도선관위 관계자는 “지난 총선 때 투표소 설치 신청 대학은 전부 받아들여 일부 대학은 투표인이 2천명 미만인데도 투표소를 설치했다”며 “투표소 설치는 일단 대학의 신청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전체 학생 수가 2만명을 넘지 않는 대학은 ‘2천명’ 기준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며 “학생들이 부재자 투표를 쉽게 할 수 있으려면 투표인을 500명 수준으로 줄이는 등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